이란과 주요 6개국(유엔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이 이달 말로 정해진 시한을 일주일 앞두고 막바지 협상을 시작했다. 협상 연장안도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이란과 주요 6개국은 20일(현지시간)까지 닷새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차관급 실무협상을 벌인 데 이어 22일 룩셈부르크에서 장관급 양자 회동이 네 차례 열렸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아닐 프랑스, 독일, 영국 외무장관을 잇달아 만난 뒤 페데리카 모리게니 EU 외교안보 고위대표와도 따로 회담했다. 이메일과 온라인 대화 프로그램인 스카이프 등으로 파트너들과 회의를 해온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이번 주말께 빈에서 자리프 장관과 협상할 예정이다.
자리프 장관은 이날 모리게니 대표와 만난 뒤 “현실을 받아들이는 정치적 의지만 있다면 4월 2일 합의된 잠정안을 기반으로 진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쪽 모두 지나치게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며 서방을 압박했다.
협상 참가국 중 이란에 가장 강경한 프랑스의 로랑 파비우스 외무장관은 “우리는 합의를 원하지만 나쁜 합의가 아닌 강한 합의를 원한다”며 “필요하다면 타결안에 이란의 군사 시설 사찰과 합의 위반시 제재해제 복원 조건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로선 IAEA의 사찰 범위와 제재 해제의 방법과 시점은 핵협상의 가장 중요한 쟁점이다. 이란 의회는 21일 핵협상 타결안에 대한 의회의 승인권을 포기하는 대신 군사 시설 사찰을 금지하고 대이란 경제·금융 제재가 협상 타결과 동시에 영구히 풀려야 한다는 법안을 가결했다.
시한이 다가오면서 연장 전망도 나오고 있다. 자리프 장관은 22일 이란 국영 IRNA통신에 “좋은 협상을 하는 게 시한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며 시한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6월 30일로 정한 시한은 현재로선 확고하다”면서도 3월 31일이었던 잠정타결 시한도 이틀 넘긴 4월 2일에 합의가 이뤄진 점을 들어 필요하다면 미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시한 1주일 이란 핵협상, 협상 연장론 솔솔
입력 2015-06-23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