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이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와 관련, 절충점을 찾기까지 독일 변수가 크게 작용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22일 보도했다.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지난 3월 방일했을 때 “한국에 (세계 유산 등재와 관련한) 거부권을 갖게 해도 좋은가”라며 일찌감치 한국을 견제했다.
한국도 독일 설득에 공을 들였다. 산업혁명 유산을 유대인 강제수용소, 히로시마 원폭 돔 등과 같은 ‘부(負)의 유산’으로 자리매김시켜야 한다고 독일 측을 설득했다.
아베 총리는 한국의 견제가 심상치 않자 관계 부처에 철저한 대응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기우치 미노루 일본 외무성 부대신이 지난달 13일 ‘열쇠’를 쥔 독일을 방문해 독일 국무장관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기우치 부대신은 세계문화유산 등재 찬성을 호소했지만 독일 장관은 “독일은 이웃나라와 화해해왔다. 일본도 노력해달라”고 쓴소리를 했다.
이런 상황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지난 12일 독일을 방문, 외교장관 회담을 진행한 것이 일본 측에 강한 압박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 복수의 위원회 위원국들로부터 ‘일본 입장은 지지하지만 이대로라면 기권할지 모른다’는 의견이 일본 외무성으로 전달됐다.
결국 일본은 지난 19일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성 외무심의관(차관보급)을 서울에 급파해 세계문화유산 등재 과정에서 강제징용을 반영하라는 한국의 요구와 관련해 일정한 대응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이니치신문은 21일 한·일 외교장관회담 성사와 관련해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을 필두로 한 미국 정부가 중재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한일 세계유산 절충 막후엔 '독일의 돌직구' 있었다
입력 2015-06-22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