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22일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에 속도를 내고자 전국 징병검사장에서 전사자 유족의 DNA 시료를 채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병무청과 협조해 징병검사 대상자에게 이메일로 설문지를 보내 8촌 이내 친척 가운데 6·25 전사자가 있는지 등을 가려 대상자를 선정하고 검사장에서 이들의 동의를 구해 DNA 시료를 채취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국방부는 신병교육대에서 6·25 전사자 유족 DNA 시료 채취 작업을 해왔으나 대상자들의 무관심으로 채취율이 점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가 DNA 시료 채취 방식을 바꾼 데는 6·25 참전용사와 유족의 고령화와 6·25 격전지 개발로 전사자 유해발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판단도 깔렸다.
국방부는 6·25 전사자들의 유해가 묻힌 곳을 찾기 위한 참전용사 증언 녹취 작업도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들어 서울과 인천에서 수행한 녹취 작업을 앞으로는 3년 동안 대전을 비롯한 지방 주요 도시에서도 하기로 한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남한 지역은 물론 비무장지대(DMZ)와 북한 지역에 관한 증언도 이어지고 있다”며 “향후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서는 북한 지역 유해발굴 사업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더 늦기 전에" 국방부, 6·25 전사자 유해발굴에 속도
입력 2015-06-22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