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정무수석 공석 상황이 길어지면서 이 자리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인선 시점에도 관심이 모인다.
정무수석 자리는 전임인 조윤선 전 수석이 지난달 18일 공무원연금개혁 무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이후 한 달 넘게 비어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21일 박 대통령이 후임 법무부 장관을 지명하면서 정무수석도 함께 발탁할 것이라는 관측이 돌았지만 이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의 발표에서 정무수석 인선은 빠졌다.
민 대변인은 정무수석 인선 시점을 묻는 질문에 "논평할 게 없다"고만 밝혔다.
정무수석이 청와대와 국회 사이의 소통 채널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요직임에도 이처럼 인선이 늦어지는 것은 마땅한 인물을 찾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의 철학과 의중을 잘 이해하는 동시에 이를 여야 지도부에 잡음없이 전달하며 무난한 입법 협조를 끌어내야 한다는 점에서 '중량감 있는 친박(친박근혜) 성향 정치인'이 후임 정무수석의 조건으로 부상했지만 이를 충족할 인사를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총선이 내년 4월로 다가오면서 정치권과의 소통 능력을 갖춘 무게감 있는 친박 원외 인사들은 대다수 총선 출마를 희망하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인선 작업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언론계로 범위를 넓혀 후임을 물색하고 있지만, 아직 적임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안종범 경제수석의 정무수석 수평이동설, 신동철 정무비서관의 승진 기용설 등이 거론되지만, 당사자들은 "그런 인사는 없다"고 부인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정무수석 인선에 대해 "잘 모른다"며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회법 개정안 위헌 논란을 둘러싼 청와대와 국회의 신경전이 한창인 가운데 정무수석 인선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판단도 인선 지연의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조 전 수석이 사퇴한 뒤 이병기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이후 정국과 관련해 국회와의 물밑 대화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굳이 후임자를 발탁해 소통 채널을 복잡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러다보니 새누리당 내에서는 후임 정무수석에 대한 하마평도 거의 돌지 않는 분위기다. 정무수석이 청와대와 여당 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만큼 인선이 늦어지는 데 대한 불만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런 기류도 아직 불거지지 않고 있다.
다만 당내에서는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 등 '투톱' 지도부가 모두 '비박(비박근혜)'계로 분류되다 보니 청와대서 정무수석 인선과 관련한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제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청와대-국회 소통 채널 한달 공백” 靑 정무수석 구인난에 인선 지연
입력 2015-06-21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