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협력 시너지 극대화… SK텔레콤, 창조경제 모범사례 선보여

입력 2015-06-21 16:37

SK그룹이 벤처기업과 특허를 공유하면서 새로운 기술과 신제품을 만들어 내는 새로운 형태의 창조경제형 상생협력 모델을 선보였다.

SK텔레콤은 5월 25일 출시한 ‘UO스마트빔 레이저’가 출시 한 달도 안돼 판매 및 선주문 물량이 3만대를 넘어서는 등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UO 스마트빔 레이저는 SK 텔레콤이 상생경영 차원에서 지원하는 ‘브라보 리스타트’ 1기 출신의 벤처 협력기업 크레모텍에 자사가 보유한 특허를 무상 제공하고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크레모텍은 레이저 광원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상용화를 위한 응용기술은 부족했다. SK텔레콤은 상용화에 필요한 특허와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체계적 지원만 이뤄지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생산할 수 있다고 보고 집중적인 인큐베이팅을 시작했다.

SK텔레콤은 우선 크레모텍이 필요로 하는 특허 9건을 제공, 광학 기술이 휴대장치 등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 또 SK텔레콤의 R&D기관인 종합기술원의 응용기술 전문가를 동원, 공동 연구에 돌입했다. 제품설계 단계부터 시장에 통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상품개발부서 인력도 참여시켰다.

특허 공유에 기반한 2년여간의 공동연구로 양사는 지난 5월 세계 최초로 레이저 광원에 기반한 빔 프로젝트를 개발했다. 안전 1등급의 HD고화질 해상도를 가진 차세대 기술이다. 또 공동연구 과정에서 확보한 3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제품화에만 그치지 않고 시중에 판매할 목적으로 대량생산까지 진행하면서 통큰 상생경영을 이어갔다. 브라보 리스타트 프로그램으로 육성한 벤처기업 제품을 대량생산해 판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은 이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마케팅과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있는 중으로, 미국과 중국 시장의 주문물량이 이어지고 있는 등 향후 판매전망도 밝은 편이다. 회사의 가파른 성장에 힘입어 인큐베이팅을 시작할 때 2명에 불과했던 직원 수는 현재 40명까지 늘어났으며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는 내년(2016년) 매출목표는 1000억원으로 높여잡았다.

SK텔레콤은 크레모텍의 이 같은 미래가치와 가능성을 보고 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을 결정하고, 벤처캐피탈과 협력하여 30여억원의 투자를 진행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