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21일 방일(訪日)에 앞서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차관보급)이 19일 방한했다.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앞서 위안부 문제 등 여러 현안의 사전 조율을 위한 차원이다.
스기야마 심의관의 방한은 일본 측이 먼저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스기야마 심의관이 조태용 외교부 1차관과 면담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면담에는 한·일관계 주무국장인 이상덕 동북아국장이 배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립 일변도로 내달렸던 양국은 오는 21~22일 윤 장관의 방일과 외교장관 회담,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 등 관계 개선을 꾀할 만한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스기야마 심의관의 방한은 이들 행사에 앞서 위안부 문제와 조선인 강제징용시설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등의 복잡한 현안에 대한 사전 정지작업 성격인 셈이다.
스기야마 심의관은 출국 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외무장관 회담을 위한 막바지 협의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윤 장관 방일과 관련해 일정 조율 차원에서 온 것으로 특별히 현안에 대한 협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윤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안보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 협상이 마무리단계임을 밝힌 데 대해 윤 장관은 “한·일 협상은 미세한 문제를 꼼꼼히 따져야 하는 측면이 있어 타결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하기는 신중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 간 8차례 협의를 통해 나름 의미있는 진전은 있다”고 덧붙였다.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찬성 여론도 커지고 있다. 아산정책연구원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일 관계에 대해 조사했다. ‘오는 8월 아베 총리의 담화에서 역사 문제에 대한 반성이 미흡하더라도’ 한·일 정상회담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56.3%에 달했다. 반대의견은 38.5%에 그쳤다.
한·일 정상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는 ‘역사 및 위안부 문제’가 37.5%로 가장 많았다. ‘독도 영유권 문제’(26.7%), ‘한·일관계 정상화 방안’(9.5%), ‘북핵 문제 해결’(8.2%)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일본 외무부 차관보 방한, 윤병세 신중, 정상회담 기대감
입력 2015-06-19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