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20%대로 내려앉으며 집권 중반기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여파가 콘크리트 지지율마저 흔들고 있는 상황이다. 세월호 참사를 겪고도 국가적 위기에 우왕좌왕하는 국정 난맥이 개선되지 못한 데 따른 실망감 탓이라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한국갤럽이 19일 발표한 박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29%로 40%였던 지난달 29일보다 11% 포인트나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통적 지지기반인 대구·경북의 긍정평가는 23% 포인트(64%→41%), 부산·울산·경남은 13%포인트(41%→29%) 줄었다. 10~40대는 10%대 지지율을 보였고 50대에서도 긍정평가가 40%에 그쳤다. 취임 이후 최저치로 연말정산, 증세 논란이 일었던 올해 초와 같은 수준이다.
부정 평가는 61%로 긍정·부정 격차가 3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메르스 확산 대처 미흡’(33%), ‘리더십 부족·책임 회피’(12%) 등이 부정평가 이유로 꼽혔다. 반면 새누리당 지지도는 40%로, 박 대통령과의 격차가 11%까지 벌어졌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 급락은 지난 10일 미국 방문 연기를 전격 결정하며 메르스 총력대응 의지를 분명히 한 뒤에도 계속된 것이어서 더 뼈아프다. 전문가들은 메르스에 따른 국민의 공포감과 청와대의 인식에 괴리가 컸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정국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한 꺼내 든 ‘비장의 카드’가 전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셈이다.
메르스 확진자 증가세는 줄었지만 종식 시점을 확신할 수 없는 것도 문제다. 메르스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직결된 문제여서 어느 사안보다 민감하다. 메르스로 인한 경기 불황마저 현실화될 경우 29% 지지율마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대통령 지지율 하락은 당청관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메르스로 인한 민심 이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당청갈등까지 빚는 모습을 보일 경우 여권이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내부에서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후폭풍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내영 고려대 정외과 교수는 “대통령 지지율 하락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만큼 새누리당은 대통령과 각을 세우려 하지 않을 것”이라며 “청와대도 당에 대해 강경 일변도로 나가는 데에는 부담감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6~18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95% 신뢰수준 ±3.1%포인트, 응답률 15%)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이슈분석] 메르스 여파로 콘크리트 지지율 위협, 집권 중반 최대 위기 맞은 박근혜 대통령
입력 2015-06-19 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