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9일 황교안 국무총리에 대해 "새 총리는 국민에게 해명할 것은 해명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한 후 직을 시작하는 게 도리"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다수의 힘으로 총리 후보 임명동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인사청문 과정에서 드러난 결격사유들까지 통과되는 것은 아니다. 야당에게 이겼다고 국민들의 부적격 판정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 당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대란과 극심한 가뭄 속에서 정쟁을 피하기 위해 총리 인준 절차에 협조했다"며 "총리도 직을 건다는 각오로 메르스, 가뭄 극복에 전력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표는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내일이면 (최초 환자 발생) 한 달인데, 얼마나 더 확산될지 언제까지 계속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박근혜정부의 무능과 불통이 빚어낸 대재난"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정부를 나무라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마음에 들지 않아도 정부를 중심으로 온 국민이 단합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새 총리가 임명된 만큼 정부의 뼈아픈 반성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서울의료원 방문과 관련해 "인력과 방호장비, 물품도 턱없이 부족하다. 의료진들의 희생과 헌신만으로 감당하기에는 벅차다"며 "환자치료, 격리자 관리, 방역망 구축 등 자원을 총동원하고 메르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야정이 머리를 맞대고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정부가 피해대책으로 내놓은 4000억원 긴급자금 지원은 너무 안이하다"며 "환자와 격리자, 피해병원, 유통 서비스, 농민, 지역경제 등 자금지원이 확대돼야 한다. 가용할 재원을 우선 총동원하고 과감한 추경 편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세월호에 이어 메르스로 더욱 어려워진 민생을 살리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 공공의료 시설과 공공의료 인력 대폭 확충 등 보호자 없는 병원, 국가 방역망 체계가 재설계된 보건의료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문 대표는 최저임금 문제와 관련, "우리 경제 현실이 너무나 어렵다. 경제는 멈췄고 내수는 침체돼 민생이 얼어붙고 지갑은 닫혔다. 소비부진 개선이 경제를 살리는 길"이라며 "가장 정직한 정책은 최저임금 인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기에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대책이 함께 강구되면 내수활성화와 선순환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소득주도 성장을 위해 최저임금의 두 자릿수 인상이 필요하다는 우리 당 입장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박근혜정부 무능.불통이 빚어낸 대재난” 문재인 “메르스 한달, 언제 끝날지 몰라”
입력 2015-06-19 0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