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총리 체제 출범과 더불어 후임 법무부 장관도 지명 수순에 들어간 분위기다.
청와대는 그동안 자체 검증을 거쳐 4명 안팎의 후보자를 박 대통령에게 올렸으며, 박 대통령은 총리의 국무위원 제청 절차 때문에 황 후보자 인준을 기다려온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황 총리 임명장을 수여한 뒤 법무장관 인사를 곧바로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으나 이날 인사 발표는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박 대통령이 인사를 미룰 이유가 없다는 청와대 기류가 지배적인 만큼 주말께 인선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께서 법무장관 인선 문제를 좀 더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며 "금주내로 인선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법조계 안팎에선 김현웅(사법연수원 16기) 서울고검장과 김홍일(15기) 전 부산고검장 등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소병철 전 법무연수원장(15기), 안창호 헌재재판관(14기), 곽상욱 감사원 감사위원(14기)도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김진태 검찰총장(14기)보다 기수가 낮은 15-16기에서 법무장관 인선이 이뤄지는 '기수역전' 인사의 가능성이다. 이 경우 올해 12월까지가 임기인 김 총장 거취가 어떻게 정리될지도 주목된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교체 및 정무수석 인선 여부도 관심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메르스 사태가 종식되고 난 뒤에는 복지장관 교체는 불가피하다는 분위기다. 따라서, 문 장관이 메르스 사태를 마무리지은 뒤 적절한 시점에 사의를 표명하면 박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공석인 정무수석 인사도 박 대통령이 해결해야 할 숙제다. 청와대는 내년 총선에 불출마할 정치인을 중심으로 후임자를 찾다 인물난에 봉착했고, 언론계 인사로 범위를 넓혀 적임자를 물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여권 일각에선 복지장관, 정무수석 등의 인사 수요와 내년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둔 의원겸직 국무위원의 새누리당 복귀 가능성 등을 들어 중폭개각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들은 "중폭개각의 분위기는 전혀 없다"며 "최경환 경제부총리 등 당에서 차출된 장관들은 연말까지 본인의 소임을 마친 뒤 복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靑, 법무장관 인선 1~2일 늦어질 가능성...복지부 장관 등 인선도 고심
입력 2015-06-18 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