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8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사태에 대한 정부의 확실한 방역대책을 촉구하고 현장 상황을 점검하는 등 메르스 사태 해결에 당력을 집중했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신내동에 있는 서울의료원을 비공개로 방문하면서 7번째 메르스 현장 행보를 이어갔다.
문 대표는 앞서 지난달 31일 질병관리본부를 시작으로 경기도청 상황실(5일), 서울시청 상황실(9일), 대한의사협회(10일) 충남 아산시보건소(15일), 순창 장덕마을(16일)을 차례로 방문하며 정부의 철저한 대책을 촉구했다.
문 대표는 이날 일정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추미애 최고위원과 유은혜 대변인 등 최소 인원과 조용히 방문했다. 앞선 6건의 일정을 취재진들에 알린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당 관계자는 "고생하는 의료진을 격려하러 가는 것인데 민폐가 되면 안 된다는 생각에 당에서 비공개로 하자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표는 의료원의 메르스 상황실에서 의료진을 만나 현황을 보고받았으며 "의료기관들도 고통을 겪고 있지만 국민이 잘 알고 있고 감사하고 있다. 헌신과 노력을 잊지 않겠다"고 격려했다.
또 방호장비와 역학조사 인력 등 공공의료 시설과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료진의 건의에 대해 "메르스를 통해 공공의료체계의 소홀함을 느꼈고 공공의료 시설과 인력을 확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고 유 대변인은 전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메르스 사태로 서민경제가 흔들리고 있는데도 정부는 아직도 여론을 호도하면서 국민에게 정상적인 경제활동만을 주문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국민들은 정부의 대책을 믿지 못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있는데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가능하겠는가 되묻고 싶다"며 "메르스 사태로 인한 경제위기는 대통령이 머리띠를 산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방역당국의 확실한 방역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메르스 저지 특별위원회는 긴급 성명을 내고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최근 의약단체에 전달한 '메르스 대응 관련 처방 추가지침'을 통해 삼성서울병원의 요청에 따라 한시적인 의료법 적용 예외를 인정해 의사와 환자가 스마트폰 등 전화로 진찰과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주장했다.
특위는 "이는 메르스 확산사태의 큰 책임이 있어 병원폐쇄까지 당한 의료기관에 대해 정부가 현행법이 엄격히 금지하는 원격진료를 허용해 준 것으로 사상 유례가 없는 특혜조치"라고 비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문재인 “메르스 경제 위기,대통령이 머리띠 산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입력 2015-06-18 1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