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는 ‘한일관계 악화에 따른 대일 비즈니스 동향’ 보고서를 통해 2012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한일관계 악화로 막걸리, 빵, 농수산식품 등 주요 B2C제품의 수출이 지난 3년간 최대 70%이상 감소했다고 1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막걸리 등 주요 제품은 2000년 초반부터 시작된 일본의 ‘한류붐’으로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2년 하반기부터 수출이 급감해 2014년에는 2012년 대비 막걸리 74%, 빵 53%, 농수산식품 39% 등 일반소비자 대상 제품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주일한국기업의 경우 2013년에는 비즈니스 애로의 대부분이 급격한 엔저였으나 2014년, 2015년에는 한일정치관계 악화의 응답비중도 각각 28%, 30%로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소비시장의 분위기에 편승해 기존 한국과의 거래를 유지해온 바이어들의 태도도 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음.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앞두고 도쿄지부가 일본바이어 26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일관계 악화로 한국과의 거래가 감소하고 있다’고 응답한 바이어가 46.7%에 달했으며, 기존에 없던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응답도 추가되는 등 장기적인 비즈니스 악영향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조사에 응답한 일본 바이어의 64%는 ‘향후 한일관계가 개선된다면 한국과의 거래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해 대일비즈니스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무역협회 김은영 도쿄지부장은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인 금년이 양국의 관계개선을 위한 절호의 기회”라며 “한국기업의 일본내 비즈니스 확대와 거시적인 양국간의 경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양국 정부의 전향적인 관계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日바이어,“한일관계 개선시 한국과의 거래 확대”
입력 2015-06-17 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