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의 잠복기를 두고 논란이 또 다시 불거졌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MERS-CoV)의 최장 잠복기로 알려진 14일을 넘겨 확진되는 감염자가 속출하고 있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추가 확진자 4명 중 151번(38·여) 152번(66) 154번(52) 환자가 지난달 27~28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다가 감염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기간 응급실에 체류했던 슈퍼전파자 14번 환자(35)로부터 3차 감염됐다는 설명이다.
14번 환자가 응급실에 머문 마지막 날은 지난달 29일이었다. 여기에 최장 잠복기 14일을 더한 지난 12일 이후로는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돼 증상이 발현된 환자는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 그런데 15일 신규 확진자로 발표된 146번 환자(55)가 14번 환자에게 노출된 지 16일 만에 증상을 보인 데 이어, 이날 최초 노출 시점에서 18~19일 지나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3명 더 나온 것이다. 증상 발현 후 검사까지 며칠이 소요된 점을 고려하더라도 최장 잠복기 개념이 무색할 정도로 확진이 늦어졌다.
보건 당국은 일단 이날 나온 삼성서울병원 확진자가 모두 잠복기 내에 발병했다는 판단을 고수하고 있다. 권준욱 대책본부 총괄반장은 브리핑에서 “154번 환자의 경우 지난 13일 이전에 컨디션이 좋았다, 안 좋았다 했다고 기록돼 있다”며 “본인이 확실하게 이상을 느낀 13일 이전에 이미 발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최장 잠복기(14일)를 더 늘려 대응하는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메르스 잠복기가 더 길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고려대 약대 송대섭 교수는 “메르스 잠복기가 최대 2주로 알려져 있지만, 발원지인 중동 현지에서조차 이에 대한 논란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알려진 잠복기는 실험으로 확인된 게 아니고 중동지역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기반으로 WHO에서 가이드라인을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사우디아라비아 연구팀이 지난해 12월 감염병 학술지 ‘임상감염병리학’(CID)에 메르스 최대 잠복기가 길게는 6주(42일)나 된다는 사례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몇몇 전문가들은 메르스 증상 발현 시점을 환자의 진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감염원 노출 시점 또한 잘못 인지할 수 있어 잠복기에 대한 예외적 상황이 나올 수 있다고 말한다.
한림대 의대 강동성심병원 엄중식 교수는 “아주 예외적인 사례에 그친다면 현재 WHO 지침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엄 교수는 하지만 “만약 예외적 사례의 빈도가 잦아지고 전혀 예상치 못할 정도로 잠복기를 넘어가는 사례가 발생한다면 그땐 의심자 관찰 및 환자 격리 기간 등 메르스 대응 가이드라인을 모두 바꿔야 하는 만큼,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WHO와 함께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잠복기 논란 또… 증상 발현시점, 접촉 시점 잘못 인식할 수 있어
입력 2015-06-16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