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분계선(MDL)을 넘어 15일 중동부 전선을 통해 귀순한 북한군 병사는 귀순 하루 전 우리 군 전방소초(GP)에 도착했다가 다음날 발견된 것으로 드러났다. ‘노크 귀순’에 이은 ‘숙박 귀순’인 셈이다. 이 때문에 군 감시태세에 허점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비무장지대(DMZ) 내 GP 임무는 철책선 경계를 담당하는 일반전초(GOP)로 접근하는 적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 북한 병사 귀순경로=군 당국은 16일 북한군 병사가 14일 밤에 북한측 절책을 통과한 뒤 우리 군 GP 인근 언덕까지 접근해 밤을 지새운 뒤 날이 밝자 우리군 철책으로 내려왔다고 밝혔다. 북한군 병사가 잠을 잔 곳은 MDL에서 남쪽으로 500m 떨어진 지점이었다.
우리군 경계병은 철책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고서야 육안으로 북한 병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철책과 GP상황실까지는 4m에 불과했다. 경계병의 보고를 듣고 GP 부소초장이 뛰어나와 확인하자 북한군 병사는 “북군이다”라고 귀순의사를 표명했다. GP 부소초장은 오전 8시쯤 귀순 병사를 만나 GP 내부로 유도했다.
북한군 병사는 지난 7일 근무하던 부대를 이탈해 남쪽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19세인 이 병사는 함흥지역 한 여단에서 보위장교의 운전병으로 근무하던 중 잦은 구타 등 군내 폭력을 견디다 못해 귀순을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병사는 일주일간 차량을 타거나 걸어서 남쪽으로 200여㎞를 이동했다. 이 병사는 14일 강원도 김화까지 내려와 북한군 초소에 “약초를 캐러 왔다”고 둘러대고 밤이 되길 기다렸다. 그는 우리군 철책에 환하게 불이 켜지는 것을 보고 남쪽이라고 직감하고 밤의 어둠을 이용해 전기철선을 넘어 남쪽으로 내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탈영병이 1주일 정도 북한지역을 활보할 동안 북한군이 이를 파악하거나 제지하기 못하고 또 DMZ내 북한측 철책을 어렵지 않게 통과한 것으로 봐 북한군 경계태세가 상당히 느슨해진 것으로 추정했다.
◇ GP경계근무 문제없었나=군은 북한군 병사가 GO인근에서 하룻밤을 지새웠음에도 스스로 걸어내려와 철책을 흔들 때까지 전혀 알아채지 못한 것에 대해 기상여건악화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날씨가 나빠서 발견할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북한 병사가 귀순한 지역은 남대천 지류가 흐르고 있어 안개가 자주 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북한 병사가 DMZ내 남쪽 영역에 진입한 14일 밤은 달빛이 거의 없이 칠흑같이 어두웠으며 짙은 안개로 10m앞도 잘 안보이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이 지역은 잡목이 우거져 시야가 제한돼 북한군을 발견하기 힘들었다. 또 야간에 의심물질이나 인물을 감시하는 열상감시장비(TOD)로도 식별하기 힘들었다고 해명했다.
합참관계자는 “악기상으로 관측이 제한되는 조건에서도 GP 경계병들이 청음작전에 성공한 사례”라며 “GP작전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사건 발생후 현장점검에 나섰던 전비태세검열단도 “GP 근무명령서를 확인했다”며 “순찰을 제대로 하는 등 근무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상이 안 좋을 경우 더 경계근무에 신경을 썼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안개 등으로 적이 매복하기 좋은 여건이어서 침투 가능성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2012년 10월 북한군 병사가 우리군 GOP 창문을 두드리며 귀순한 ‘노크 귀순’사건 이후 전방지역에 대한 경계근무가 강화됐지만 또 한번 귀순 병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허점을 노출했다는 지적도 높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귀순한 북한 병사, DMZ에서 하룻밤 새워
입력 2015-06-16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