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인사인 안병욱 가톨릭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새정치민주연합 윤리심판원이 16일 공식 출범했다.
안 원장을 비롯한 심판원들은 이날 문재인 대표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첫 회의를 개최하는 등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새정치연합에서 당원의 징계를 결정하는 기구를 외부인사가 이끄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4·29 재보선 참패 이후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새출발을 다짐하는 시기여서 칼자루를 쥔 안 원장의 '기강 세우기 실험'이 성공할지 주목된다.
앞서 새정치연합은 지난 2·8 전당대회 때 당헌·당규를 개정, 기존 윤리위원회를 윤리심판원으로 승격시켰다. 또 심판원의 결정은 최고위원회의나 당무회의를 거치지 않고 '최종심판'의 효력을 갖도록 했으며 과반을 외부인사로 구성토록 해 독립성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전체 구성원 9명 가운데 당밖인사로 안 원장을 비롯해 김삼화 변호사, 박현석 서울시의회 고문변호사, 불교사회연구소 소장인 법안스님, 서화숙 전 한국일보 선임기자 등 5명이 참여했다. 당내인사로는 민홍철(간사) 이개호 인재근(부원장) 의원과 김하중 전 법률위원장이 포함됐다.
첫 발은 내디딘 심판원 앞에는 만만치않은 '지뢰'들이 도사리고 있다.
'비노 세작' 발언 논란을 일으킨 김경협 의원과 '전위부대' 발언 논란에 휩싸인 비노계인 조경태 의원 징계요청서가 각각 제출돼 있고, '공갈 사퇴' 막말로 당직 자격정지 1년의 징계를 받은 정청래 의원도 재심을 청구해 놓고 있다.
안 원장은 "막중한 소임을 맡아 두렵고 송구하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또 "살얼음판을 걸으며 국민의 신뢰를 향해 나가는데, 한두 명이 신중치 못한 언행을 해 얼음판이 깨질 위험에 처했다"면서 "엄한 잣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도부도 심판원에 힘을 실어주었다.
문 대표는 "안 원장은 시대의 사표"라며 "중심을 잡아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무책임한 말과 행동이 당 내부에서 스스로를 무너뜨렸다. 국민의 눈높이와 당원의 잣대로 심판해달라"며 "기강과 책임이 바로 서는 정당, 맺고 끊는 맛이 있는 정당으로 가겠다"고 다짐했다.
심판원은 이날 회의에서 김경협 의원 징계안과 관련, 사무국에 내용조사를 요청한 후 처리방침을 두고 격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 중간에 "예전 관행대로는 밋밋하다. 기강을 세워야 한다"며 "당규 17조나 18조를 인용해 원장이 강력히 나서야 한다"는 고성이 새어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민 의원은 "17조 직권조사 규정, 18조 윤리조사 규정 중 어느 조항을 적용할지 논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2시간 가량 회의 후 해산했으며 25일 두번째 회의를 열어 김경협·조경태·정청래의원 등에 대한 징계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한편 비주류 진영에서는 "심판원을 친노가 장악한 것 아니냐"는 불만이 나오기도 했다.
안 원장은 '친노편향 공천' 논란을 빚은 2012년 19대 총선 공천 때 비례대표 추천심사위원장을 맡은 바 있어 비노진영에서는 불신이 적지 않다.
이에 따라 김경협 의원 등의 처리결과를 두고 '특정계파 편들기'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비노 “野윤리심판원마저 친노 장악?” 친노 김경협 정청래 징계 첫 시험대
입력 2015-06-16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