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사고로 대퇴골 골절상을 당한 존 케리(71) 미국 국무장관이 이번 부상에도 다시 자전거에 오르겠다며 변함없는 자전거광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냈다.
케리 장관은 14일(현지시간) 발간된 보스턴글로브와의 인터뷰에서 ‘다시 자전거를 타겠냐'는 질문에 “당연히 그럴 것이다. 농담하느냐”라고 답했다.
그는 지난달 31일 프랑스 알프스에서 시속 2마일(3㎞)로 천천히 자전거를 몰던 중 앞서 가던 오토바이에 신경을 쓰다 갑자기 나타난 커브길에서 넘어졌다고 사고 상황을 술회하면서 “앞으로는 시선을 뺏기지 않고 내 오른편으로 가는 오토바이를 쳐다보지 않으면서 자전거를 탈 것”이라고 코믹하게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케리 장관은 보스턴 매사추세츠 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지난 12일 퇴원했다. 인터뷰는 보스턴 비컨힐에 있는 그의 자택에서 이뤄졌다. 그는 쇼파에 앉아 운동화를 신은 채 인터뷰를 했으며 자신의 애완견과 함께 포즈를 취하기도 했다.
그는 현재 의사가 처방해 준 타이레놀 외에는 아무 약도 먹지 않고 오는 30일로 마감 예정인 이란 핵협상 등 당면 과제를 준비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입원해 있는 동안에도 병실에 보안 전화선을 깔아놓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핵협상팀과 수시로 통화한 것은 물론 핵협상 파트너인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과도 이메일을 주고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란 핵 협상에 대해 “실패할 수도 성공할 수도 있다”며 “나는 항상 성공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해왔지 협상이 낙관적이라고 말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라크의 이슬람국가(IS) 준동하지만 미국이 IS 퇴치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선 “솔직히 바그다드가 IS에 의해 포위돼 있었지 않았냐”며 “우리가 공습을 하고 이라크군을 훈련시켜서 바그다드를 지켜냈고, 또 많은 땅을 회복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다리 부러진 케리 미 국무 "자전거 또 탈 것, 바드다드는 지켜냈다"
입력 2015-06-15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