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즈 관광객들마저 ‘메르스 한국 본토’를 외면하고 있다. 연내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 등 크루즈관광 산업 육성에 힘을 쏟아온 해양수산부는 더욱 난감해진 상황이다.
15일 해수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외국 크루즈선 21척이 부산항과 인천항 입항 계획을 취소한다고 통보했다. 이들 크루즈선의 관광객은 약 5만명으로 1인당 평균 지출액 117만원, 총 585억원의 손실이 예상된다.
실제 지난 8일부터 크루즈선 3척, 5000여명이 한국땅을 밟지 않았고 10일 뉴스킨사 중화권 포상관광단 6000여명을 태운 크루즈선 2척이 부산항·인천항에 입항하기는 했지만 관광객이 아무도 배에서 내리지 않았다.
입항취소 통보는 6월(8척)과 7월(6척), 8월(1척) 일정 뿐 아니라 9월(3척), 10월(2척), 11월(1척)까지 들어온 상태다.
중국의 크루즈선 경유지는 기존 인천·부산에서 제주나 일본으로 바뀌는 추세다.
유기준 해수부 장관은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메르스 사태가 조기에 진정되길 바라지만 장기화하면 크루즈 산업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 장관은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국내가 안전하다는 것을 외국선사, 중국여행사 등에 확실히 알리겠다"며 "중국에 '한국이 생각보다 훨씬 낫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홍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천항·부산항의 입항 계획을 취소하는 크루즈선을 제주·광양·여수 등 대체 기항지로 돌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메르스 진정세가 수치로 확실히 나타나지 않는 한 해수부가 '홍보'로 중국 관광객의 발길을 되돌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메르스 발생 이후 지난 13일까지 방한을 취소한 외국인 관광객이 전체 10만8000여명이고 이 가운데 중화권 관광객이 75%를 차지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길어지면 국적 크루즈선사 출범 계획 역시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해수부는 올해 8월 '크루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한국관광공사의 자회사인 그랜드코리아레저(GKL)와 팬스타 등 4개 업체와 국적 크루즈선사 연내 출범 및 내년 초 첫 운항을 목표로 협상을 벌이고 있다.
유 장관은 “메르스 사태가 오래 계속되면 국적 크루즈선 취항 이런 부분도 영향이 없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유 장관은 “국적 크루즈선의 카지노에 내국인 출입을 허용해야 한다”고 발표했다가 카지노 허가권을 쥔 문화체육부의 김종덕 장관이 “정부 내에 합의된 사항이 아니다”라고 말해 엇박자 논란이 일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크루즈 관광객 마저 메르스 한국본토 외면
입력 2015-06-15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