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은 메르스에도 서럽다”… 용역은 격리대상서 빠져

입력 2015-06-15 01:15
국민일보 DB

응급실 이송요원 등 대형병원의 비정규직들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뒤늦게 격리 대상자로 포함돼 메르스 확산의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네티즌들은 “비정규직은 이제 메르스 검사도 피해가는 존재”라며 씁쓸해 했다.

삼성서울병원의 응급실·외래 폐쇄라는 초유의 조치를 불러온 메르스 확진 이송요원(137번 환자)은 동료 90여명과 함께 이 병원 협력업체 소속으로 확인됐다. 복지부는 이 확진 환자가 용역 직원이라는 이유로 사전 관리 대상서 빠진 것으로 파악됐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안전요원인 135번 환자도 이 병원 응급실에서 14번 환자와 접촉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안전요원 역시 용역업체 소속이다.

이에 서울시는 삼성서울병원 내 비정규직 2944명 전원에 대해 감염 증상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류경기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14일 브리핑에서 “비정규직 직원인 137번 환자는 삼성서울병원이 자체 관리해온 메르스 접촉자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류 실장은 “삼성서울병원에서 14번 환자와 접촉해 메르스에 감염된 71명 중 34명(12일 기준)이 병원 관리 명단에 없었다”고 말했다.

대전 대청병원에서도 파견 직원이 격리 대상에서 누락되는 일이 벌어졌다. 부산에서 메르스 환자로 최종 확진된 143번 환자는 지난달 25~28일 대청병원에서 슈퍼전파자인 16번 환자와 함께 있다가 감염됐지만 질병관리본부의 격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143번 환자는 컴퓨터업체 외주직원으로 2주간 파견근무를 했지만 정규직이 아니라는 이유로 관리망에서 제외된 것이다. 이 확진자는 병원·약국 등을 오가며 742명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아산병원에서 청원경찰로 일하던 92번 환자도 지난달 26일 응급실을 찾은 6번 환자(사망)를 약 10분간 안내·접촉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가 메르스에 감염됐다.

네티즌들은 비정규직이 메르스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사실에 씁쓸해 하면서 대형병원의 비정규직 숫자에 놀라워했다. 한 네티즌은 “아무리 큰 병원이라도 해도 비정규직이 2944명이나 된다니, 메르스 버금가는 충격과 공포”라고 밝혔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