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삼성서울병원의 공동특별조사단 구성을 주장했다. 13일 삼성서울병원의 이송요원인 137번째 환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 9일간 근무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강경 대응을 천명한 셈이다.
박 시장은 14일 서울시청 신청사 6층에서 열린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대책회의에서 “간밤에 또 안 좋은 소식을 접한 시민들이 불안할 것”이라며 “어제 삼성서울병원에서 환자 이송요원인 137번째 환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 9일간 근무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고 말했다.
박 시장의 공동특별조사단 구성 주장은 그 동안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메르스 방역의 전권을 맡겨온 데 따른 조치다. 삼성서울병원에서 확진된 환자의 수는 71명으로 전체 메르스 확진자 수인 145명의 절반에 육박한다.
박 시장은 “삼성서울병원은 메르스 대응과 관련해 국가 방역망에서 사실상 열외 상태”라며 “그것이 오늘날 큰 화를 불렀다”고 주장했다. 그는 삼성서울병원에 137번 환자와 관련된 정보 일체를 공개할 것을 요청했다.
그는 이어 보건복지부에는 정부와 시,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공동특별조사단을 구성해줄 것을 요구했다. 박 시장은 “보건복지부에 정부와 서울시 민관전문가가 참여하는 공동특별조사단을 조속히 구성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전반적인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삼성서울병원의 외래 통제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대응은 삼성서울병원에 전권을 맡기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정부와 서울시가 주체가 되는 공동특별조사단이 총괄해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박원순 “삼성서울병원에 전권 맡기는 것 부적절”
입력 2015-06-14 11:26 수정 2015-06-14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