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위안부 협의, 파이널 스테이지” 사죄, 책임 인정, 배·보상 등 3대 협의 상당한 진척 예상

입력 2015-06-13 01:02

박근혜 대통령이 한일 간 위안부 문제에 대한 협상이 '마지막 단계'(final stage)이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언급한 것은 양국의 논의가 중대 고비에 접어들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4월 시작된 위안부 문제 관련 한일 국장급 협의가 구체적인 진전을 거두고 있다는 기류는 최근 들어 감지돼 왔다.

외교부 당국자는 박 대통령의 이번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와 관련해 12일 "국장급 협의를 개시한 이래 현재까지 8차례 밀도있는 협의를 진행해 왔으며, 의미 있는 진전도 있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이번 언급과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한일 양국은 사실상 협상 타결을 위한 합의안을 구체적으로 조율하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최근 국장급 협의와 관련해 "합의를 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요소에 관해서 모두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언급은 한일 양국이 사죄, 책임인정, 조치(배·보상문제) 등 위안부 문제 해결안의 세부 범주별로 합의 도출을 시도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가 어떤 표현으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하고, 이를 어떤 형식으로 할 것인지 등에 대해 밀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7차 협의 이후 3개월 만인 지난 11일 일본에서 8차 협의를 한 바 있다.

과거사 핵심 현안인 위안부 문제 논의에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면 이달 22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전후해 한일 간 관계 개선 흐름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커진다.

한일 정부는 각각 자국 내에서 열리는 상대국의 수교 50주년 행사에 정상을 포함한 고위급 인사가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위안부 문제의 진전은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상대국 행사에 참석하는 데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주요 변수로 꼽힌다.

수교 50년 행사가 있는 6월 하순과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결정되는 7월 초는 앞으로 한일관계 전반의 향배를 결정짓는 중요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양국이 수교 50주년 이전에 위안부 문제에 관한 구체적인 조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한 바 있다.

미 워싱턴포스트의 데이비드 이그네이셔스 칼럼니스트는 최근 한 기고문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이전에, 또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오는 22일 이전에 일본이 성명을 내고 한국이 화답하는 것이 목표"라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성명이나 피해자에 대한 서한 등을 거론했다.

박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인터뷰에서 '물밑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언급한 대목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논의하는 채널은 국장급 협의라는 입장을 우리 정부가 그간 보여왔다는 점에서다. 다만 협상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다양한 채널에서의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은 있다.

정부 당국자는 이것이 국장급 협의 이외의 별도 채널을 의미할 가능성에 대해 "국장급 협의를 중심으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 내용은 비공개로 하고 있다는 의미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