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2일 한일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의와 관련, "위안부 문제에 있어 상당한 진전(considerable progress)이 있었으며 현재 협상의 마지막 단계(final stage)에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에서 진행한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매우 의미 있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기대하는 것을 전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WP가 11일(현지시간) 인터넷에 게재한 인터뷰 발췌본을 통해 밝혔다.
그동안 한일관계 개선과 관련, 과거사 핵심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강조해온 박 대통령이 한일간 위안부 협의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일 양국은 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장급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22일을 앞두고 지난 11일 일본에서 8차 협의를 한 바 있다.
앞서 일부 일본 언론은 박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각각 자국에서 열리는 국교정상화 50주년 상대국 기념식에 참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위안부 협의 진전 내용을 묻는 말에는 "물밑 협의가 진행 중인만큼 협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하겠다"고 말했다.
또 "아베 총리가 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사과하길 원하느냐"는 물음에는 "일본 학자뿐 아니라 전 세계 학자들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일본이 과거에 무엇을 했는지 분명히 밝히라고 일본 리더십에 요구하고 있다"면서 "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그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명예를 회복시킬 의무가 일본에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미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를 요청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묻는 말에 "(만약 요청이 있으면) 우리의 국가 안보 이익에 맞는지를 포함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면서 미국과 함께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하는 것과 관련,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특정 국가의 입장에 따라 가부를 정할 게 아니다"면서 "우리가 어떻게 우리 국민을 잘 보호할 것인지가 최우선 순위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상황에 대해 "공포정치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공포정치는 단기간에는 작동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체제의 불안정을 키운다"고 말했다. 이어 한 북한 노동당 간부의 탈북 사실을 언급하면서 "(고위 탈북자가) 측근그룹까지 포함해 광범위한 숙청이 계속돼 자신들의 생명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붕괴에 대한 의견을 묻는 말에 "내 희망은 붕괴 시나리오를 보지 않고 평화적인 해결을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미국 국무부가 최근 의회에 제출한 공식 보고서에서 북한이 영변 이외에 비밀 핵시설을 운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한 것과 관련,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사관이 (오랫동안) 북한에 들어가지 못했다"면서 "그것이 진실일 개연성(probability)이 있다"며 조속한 북한 비핵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밖에 박 대통령은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 "안보와 항해 자유는 한국에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상황이 악화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미국 사드 요청 있으면 국익 우선 고려“ 朴대통령, 사드 관련 첫 언급
입력 2015-06-12 2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