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상수도 정책을 전면으로 비판하는 목소리가 전남도의회에서 터져 나왔다.
흑수발생 원인의 주범인 망간 등 고농도 중금속 성분이 정수시설에 유입되고 있는데도 지금까지 검사항목에서 제외돼있는데 따라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 몫이라는 것이다.
전남도의회는 12일 제295회 제2차 본회의에서 김기태(새정치민주연합, 순천1)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상수원수 수질검사 강화 촉구 건의안’을 의결했다.
김 의원은 건의안에서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상수원수의 수온상승에 따라 갈수기나 가을철 전도현상 시 심층수 망간 등 고농도 중금속 성분이 정수시설에 유입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소규모 정수시설에서는 응집과 침전만으로 제거하지 못해 흑수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도 환경부의 상수원수 검사항목에 빠져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는 많은 주민들이 흑수에 따른 불평과 우려를 반복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이를 등한시해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처럼 문제의 주범인 망간이온은 성층현상과 더불어 심층수의 망간농도가 초겨울 전도현상 발생 전에 약 0.5~1.5mg/L 정도까지 도달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소규모정수시설은 모니터링을 통해 망간농도가 높은 원수가 착수정에 도달된 사실을 인지했다 하더라도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지 못해 수돗물에 망간농도가 높은 물을 공급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정부는 그토록 빈번하게 흑수문제가 발생했음에도 그 원인을 찾고 분석하는 일에는 거의 손을 놓고 있었다”면서 “만약 정부가 이를 알고도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모른 채 그동안 주민들이 마셔온 적수나 흑수 발생의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주민들이 최소한 안전하게 수돗물을 먹을 수 있도록 충분한 정수시설 능력을 갖추는 일이다”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관련 규칙 개정을 통해 망간이나 철 등이 필수 검사항목으로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김기태 전남도의원 정부의 상수도 정책 전면 비판
입력 2015-06-12 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