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메르스 첫 환자 확진 날 실시한 ‘메르스 대응 모의훈련’이 뭇매를 맞고 있다. 모의훈련 위기관리 매뉴얼에서 제시한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당시 매뉴얼에 따르면 메르스 확진자가 120명이 넘는 12일 현재는 가장 높은 ‘심각’ 단계여야 한다. 그러나 정부는 그보다 2단계 아래인 ‘주의’ 단계를 고집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도자료를 보면, 복지부는 지난달 20일 오후 ‘201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 훈련’ 목적으로 국민안전처와 교육부, 외교부와 농림축산식품부, 경찰청과 인천광역시 등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14곳과 함께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체계 점검을 위한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모의 훈련이 진행된 이날은 바레인 등 중동 국가에 다녀온 환자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처음으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날이다.
복지부는 이 훈련에서 메르스가 사우디아라비아 입국자로부터 국내에 유입된 이후 전국으로 확산하는 상황을 설정해 최초 환자 발생부터 상황보고하고 위기경보를 심각단계까지 올렸다.
복지부는 자료에서 관심-주의-경계-심각까지 위기 경보의 단계를 상세히 표현했다.
가장 최고 단계인 ‘심각’에는 “총 5개 시·도, 39명 환자 발생해 전국적인 유행 확산 징후 확인 및 국민 불안 확산”이라고 적었다.
네티즌들은 복지부가 확진 판정 직후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한 이후 지금껏 요지부동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연습 따로 현실 따로인가”라고 비판했다. 12일 오후 12시 현재 메르스 확진자는 126명, 격리 대상자도 3600명을 넘어섰다.
또 네티즌들은 당시 모의 훈련이 ‘토론기반 훈련’이었다는 점을 문제 삼으며 “재난 대응 훈련을 무슨 토론으로 하냐” “메르스 다과회가 아니었겠냐”고 꼬집기도 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다과회였겠지… 정부 모의 대응훈련 ‘뭇매’
입력 2015-06-12 11:24 수정 2015-06-12 1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