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날 두 명의 일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영면했다. 이에 따라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50명으로 줄었다.
경북 포항에 사는 김달선(91) 할머니가 지난 11일 오후 9시15분쯤 포항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김달선 할머니는 1925년 경북 포항시 북구 환여동에서 3남3녀 중 둘째이자 장녀로 태어나 유복한 어린시절을 보냈지만 19살이 되던 해인 1943년 어머니를 따라 흥해읍에서 청어를 팔던 중 길거리에서 일본경찰에게 끌려가 미얀마로 끌려갔다.
그곳에서 모진 고초를 겪은 김 할머니는 1945년 해방이 되고 마지막 배로 부산에 도착했으나 몸이 너무 아파 2년간 부산에 머무른 뒤에야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한국전쟁 때 남자 형제들이 모두 죽고 혼자서 생선과 채소장사를 하면서 어렵게 생활하다 50살이 되던 해 가정을 꾸렸다. 김 할머니는 주위의 권유로 1996년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했다. 김 할머니의 빈소는 포항시민장례식장에 마련돼 있으며, 발인은 13일로 예정돼 있다.
이보다 앞서 같은 날 오후 8시40분쯤에는 위안부 피해자 김외한(81) 할머니가 경기도 광주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타계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같은 날 위안부 피해 할머니 2명 영면, 남은 할머니 50명
입력 2015-06-12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