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신종플루 보다 조그만 상황?” 아직도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정부 답변

입력 2015-06-12 00:03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관은 11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지금 대응체제가 가장 바람직한 체제"라면서 대응단계 격상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국회 메르스대책특위 전체회의에 출석,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이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이 차관은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관리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안전처는 대책지원본부를 운영한다"며 "이 두 기구를 국무총리 대행이 전반적으로 컨트롤하며 상황을 점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심각' 단계로 격상을 하더라도 복지부의 일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자칫 '심각' 단계로 격상하면 전국에서 행사들이 취소되고 학교들이 모두 휴교해야 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 이명수 의원이 거듭 "컨트롤타워가 잘 작동되느냐"고 묻자 "현 상황에서 잘 작동되고 있다. 정상적으로 잘 이뤄지고 있다"고 답한 뒤 "다만 더 환자가 늘어나고 전국 단위로 (메르스가) 확산되면 위기단계 격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런 과정에서 이 차관은 "아직 지역사회에 전파가 되지 않았다"면서 "(메르스 사태는) 신종플루 때와 비교해 봤을 때 조그만 부분(상황)"이라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새정치연합 김춘진 의원은 "2009년 신종플루 당시 두달 반만에 900명의 확진 환자가 나오고 나서야 위기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시켰다"면서 "이런 늑장대응 탓에 환자가 75만명으로 늘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임수경 의원도 "실제 위험 수준에 비해 대응 수준은 매우 미흡한데, 정부가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반응만 내놓고 있다"면서 안전처가 최근 '자주 손씻기', '기침시 입과 코 가리기' 등의 행동요령을 담은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것을 두고 "국민을 계몽하는 부처냐. '낙타고기를 먹지 말라'는 것처럼 수준 낮은 대응"이라고 질타했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이 차관 등이 대규모 휴교 사태를 우려한 것을 꼬집으며 "정부가 '심각' 단계에 준해서 대응하기로 했고, 그렇다면 당연히 휴교를 하는 것"이라며 "왜 자꾸 이를 문제삼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