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기는 우리나라 전유물 아냐…일본·중국도 피해 눈덩이

입력 2015-06-11 07:27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금융감독원은 11일 ‘해외 주요국의 금융사기 피해실태·대응책·시사점’ 자료를 통해 일본과 중국에선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태가 없었는데도 보이스피싱 등의 금융사기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2004년 첫 보이스피싱이 발생한 일본에선 2008년에 정점을 찍고 감소하다가 2012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일본 경찰청 자료로는 피해규모가 2013년 9204건, 259억엔에서 지난해 1만1257건, 376억엔(약 3400억원)으로 늘었다.

중국에서도 공안당국 추정치를 보면 2013년 피해액이 100억 위안에서 지난해 212억 위안(약 3조8000억원)으로 배 이상 됐다. 한국의 피싱사기 피해액은 같은 시기에 1365억원에서 2165억원으로 불어났다.

일본과 중국의 보이스피싱 사기는 우리나라와 수법이 비슷하다.

일본에서는 사기꾼들이 상대방을 속이려고 통화를 시작할 때 ‘저예요’라는 말에 해당하는 ‘오레오레’라고 해 ‘오레오레 사기’라는 명칭이 붙기도 했다고 자료는 전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사기 예방을 위해 계좌개설 절차를 강화하고 자동화기기 지연 인출시간을 늘리는 등의 제도를 시행했다.

금감원은 “금융사기를 막기 위해 한중일 3국 협력체계를 구축해 공동대응이 필요해 보인다”며 “대포통장 단속 강화로 최근 사기범들이 피해자에게 돈을 직접 찾아오게 하는 현금수취형(방문형) 보이스피싱이 증가하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