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북도청사 건물을 허물고 전라감영(全羅監營)을 복원하는 사업이 본격 시작된다. 이에 따라 ‘조선시대 건물을 복원하느냐, 근·현대건물을 보존하느냐’를 놓고 10년 가까이 진행된 ‘전라감영’ 논란도 종지부를 찍게 됐다.
전북 전주시는 중앙동 1만6000㎡에 있는 옛 도청 본관을 철거하는 작업을 다음달 초 시작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전주시는 본관에 이어 부지 안에 있는 옛 도의회 청사와 옛 전북지방경찰청 등의 건물을 차례로 철거할 예정이다.
예정대로 작업이 진행되면 연말쯤 이들 건물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철거 작업에는 19억원이 들어간다. 아울러 시는 1억6000여만원을 들여 하단부 등의 발굴조사를 할 계획이다.
시는 철거 과정에서 발굴되는 자료나 유물 등을 전시하고 건물이 복원된 뒤 시민이 동참하는 프로그램을 짜기로 했다. 특히 철거되는 건물들의 역사와 관련된 옛 이야기와 청사 사진 자료 등을 모은 백서를 발간하고 철거∼복원 과정을 영상으로 만들기로 했다.
시는 전라감영의 정통성과 역사성을 계승하고 갈수록 침체하는 옛 도심을 되살리기 위해 지난해 복원을 결정했다.
시는 철거작업이 끝나면 실시설계에 이어 내년 3월쯤 동편 부지에서 복원공사에 착수해 2017년 말 마무리할 예정이다. 감영 복원에 54억원, 백서와 영상제작 1억5000만원 등이 투입된다.
시는 관계자는 “복원하는 전라감영이 ‘복원을 위한 복원’이나 ‘박제화’에 그치지 않도록 설계 단계부터 다양한 콘텐츠 발굴과 복원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전라감영은 조선시대 전·남북과 제주도를 담당한 관찰사가 업무를 보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강제 철거 또는 소실된 이후 전북도청과 도의회, 전북경찰청 등 근·현대 건축물이 자리 잡았다가 현재는 모두 비어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라감영 복원 시동 옛 전북도청사 내달 철거
입력 2015-06-1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