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결국 방미 전격 연기… 외교부담 우려

입력 2015-06-10 19:38

박근혜 대통령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대응을 위해 14∼18일로 예정된 미국 방문을 전격 연기했다. 국내 사정을 이유로 한·미 정상회담이 연기된 것은 초유의 일이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10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은 메르스 조기 종식 등 국민 안전을 챙기기 위해 다음주로 예정된 방미 일정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14일 출국, 오는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취임 이후 네번째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한·미 양자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사태 확산의 고비를 맞은 이번 주 메르스 조기 종식을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차원에서 방미를 연기한 것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북한 등 한반도 문제, 한·미동맹 강화, 동북아 정세 등 한국과 미국의 정상만이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정상회담을 개최 직전 연기한 데 대한 적지 않은 부담도 안게 됐다. 북핵과 미사일 등 대북 억지, 한·미·일 등 안보협력, 미·일 간 신밀월관계 형성 등에 대한 우리의 외교적 입지 구축 등의 기회를 여론에 밀려 놓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김 수석은 “이번 주가 3차 감염 및 메르스 확산의 분수령이 되기 때문에 각 부처와 민간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민들이 불안해 하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은 국민 안전을 챙기기 위해 방미 일정을 연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현재 국내에서의 메르스 대응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해 적극 대처해왔고 직접 매일 상황을 보고받고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메르스 사태 종식 이후 미국 측과 조율을 거쳐 미국 방문 계획을 재추진할 예정이다. 김 수석은 “사전에 미국 측에 이해를 구했으며 향후 한·미 간에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로 방미 일정을 재조정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