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방미 연기] 윤병세 장관, 케리 장관에 양해… 연내 방미 어려울 수도

입력 2015-06-10 22:37

박근혜 대통령의 전격적인 미국 방문 연기 결정은 10일 오전 내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직접 결정하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직전까지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준비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청와대 수석비서관들 사이에선 미국 방문을 예정대로 진행하는 방안, 모든 일정을 연기하는 안, 또는 일부 일정 축소하는 방안 등이 다양하게 거론됐다. 전날인 9일까지만 해도 박 대통령의 방미가 예정대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진행상황 등을 추진했지만, 결국 박 대통령의 오전 중 전격 결정으로 미뤄지게 됐다.

박 대통령은 오전 방미 연기 결정 직후 윤병세 외교부 장관에게 미국 측에 상황을 설명하고 양해를 구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윤 장관은 카운터파트인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불가피하게 연기될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고 양해를 구했다. 케리 장관은 “(한국 상황을) 양해한다. 잘 이해하고 있다”며 “상호 편리한 가까운 시기에 다시 미국 방문 일정을 잡자”고 답변했다고 한다.

미국 정부가 우리 정부의 연기 요청에 합의한 이후 청와대는 오전 11시30분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런 사실을 발표했다. 직전까지도 청와대 춘추관은 박 대통령 전용기 탑승 전 수행원 및 기자들에 대한 발열 체크가 있을 것이라고 공지했었다.

청와대는 한·미 양국이 가까운 시기에 다시 방문일정을 잡자는데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박 대통령의 방미는 당분간 이뤄지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양국 정부는 올해 초부터 한·미정상회담 일정을 위해 수개월 간 서로 조율한 끝에 일정을 만들었는데, 앞으로 이런 일정을 다시 잡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연내 방문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얘기도 나온다. 우리 정부는 올 하반기 중으로 방미를 재추진할 수 있겠지만, 미국 측 일정도 쉽게 비워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의 빠듯한 국내외 일정 등을 감안하면 한·미 정상회담은 양자가 아닌 다자회의 기간에 이뤄지는 식으로 대폭 축소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지금 단계에서 재방문 일정 등을 논의하는 것은 너무 빠른 얘기”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