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은 전염성이 낮으므로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 등 예방 조치만 잘 하면 충분히 감염을 막을 수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국립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준연구소 부소장인 뱅상 에누프 박사는 9일(현지시간) 메르스 확산 예방을 위해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에누프 박사는 “메르스가 병원에서만 감염되는 상황에서 학교 문을 닫을 필요가 없다”며 "휴교하거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출입을 삼가는 것은 바이러스가 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전염이 발생할 때 취하는 조치"라고 말했다.
에누프 박사는 "사망자와 감염자 발생에 따른 단계적 대응 수위가 있다"면서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과 관련해 아직 어떤 조치를 취하라고 말하지 않고 있으니 WHO의 조사 결과를 기다려 보자"고 말했다.
이날 현재 메르스 여파로 전국 2199곳의 유치원과 학교가 휴업했다.
에누프 박사는 개인 예방 조치만으로도 감염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메르스 바이러스가 침 등 체액과 접촉을 통해서만 전염되고 공기로는 전파가 안된다"면서 "병원에서 2∼3명의 메르스 환자가 같은 방에 있거나 하는 상황이 아니면 일상에서 쉽게 전염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중국에 간 한국인 메르스 환자가 메르스를 전염시키지 않지 않았느냐"고 되물었다.
2013년 프랑스에서도 메르스에 걸려 환자 한 명이 사망한 바 있다.
당시 아랍에미리트연합을 방문하고 귀국한 프랑스 여성은 자신이 메르스에 걸린 줄 모르고 있다가 같은 병실에 있던 다른 환자에게 메르스를 전염시켰다. 이 여성은 메르스로 숨졌으나 두 명의 메르스 환자를 돌보던 의사, 간호사 누구도 감염되지 않았다.
에누프 박사는 또 메르스의 위험도는 개인의 건강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젊고 건강한 사람은 메르스가 그냥 지나가는 병에 불과할 수 있다”면서 "다만 만성질환이 있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에누프 박사는 '한국에서 메르스가 언제 진정될 수 있을 것이냐'는 질문에 "아직 예상하기 어렵다"면서 "바이러스 잠복기 등을 고려해 보면 아직 2주 정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프랑스 정부는 한국 여행 자제를 권고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자국 여행자들에게 손을 잘 씻고 호흡기 환자와 접촉을 삼가라고만 당부했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
마스크 착용만 잘해도 예방 가능…佛 파스퇴르연구소 부소장 “메르스 감염력 낮아”
입력 2015-06-10 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