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논객인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는 1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제 대통령 실장 출신 변호사 문재인씨가, 전관예우와 부정부패 척결, 사면의 관계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게 우선”이라며 “저는 황교안 지명자를 포함 전관예우 의혹을 받는 인물이 부정부패 척결의 적임자라 보지 않는다. 그럼 문재인씨의 입장은 뭔가”라고 되물었다.
변 대표는 “야당이 평소부터, 이런 철학을 갖고, 부정부패 척결의 의지를 보였다면, 굳이 벼락치기로, 오직 황교안 지명자 한명의 뒤를 캐지 않아도, 여론의 동의로 얼마든지 우위를 점했을 수 있다”며 “남에게만 손가락질 해대는 고질병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변 대표는 “전관예우는 부정부패를 키우는 주 원인”이라며 “부패 기업인, 정치인들 잡아넣어도, 이들이 로펌의 전관예우 변호사들 고용하여 빠져나오면, 부패-사정-전관예우, 이게 악순환을 이으며 사정이 전관예우의 판돈을 키울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의뢰인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전관예우 의혹의 인물이 공직에 오르지 못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고위 법조인 중 로펌 재직자는 원천적으로 공직에 못 오르게 합의를 하는 것”이라며 “이 방법도 괜찮다 봅니다만, 친노 법조인들 몇명이나 버텨내겠느냐”고 반문했다.
변 대표는 “더 본질적으로 전관예우도 마찬가지”라며 “황교안 지명자가 약 1년간 17억원의 수임료를 벌었다면, 전관예의 의혹이 충분하지만 이걸 사건 의뢰인에 대한 정보없이 자료를 뒤져서 입증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이라고 주장했다.
변 대표는 “황교안 지명자가 수임한 특정 사면 자문 사건의 내용과 별개로, 이번 기회에, 대통령 특별사면에 돈과 전관예우가 개입되는 건지 아닌지, 확실히 결론을 내려줬으면 한다”며 “이에 동의된다면, 노무현 때 특별 사면, 수사할 만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비리 기업인 성완종 두 번 연속 사면 등, 마구잡이로 사면권도 남발했다”며 “이런 노무현 정권의 일에 대해, 무조건 "뭐가 문제냐"고 악을 써대면서, 남에게만 손가락질 해댄 친노세력의 이중성이, 이제 그 한계에 이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사정, 전관예우 판돈 키운다?” 변희재 “로펌 재직자, 공직 진출 원천 봉쇄 필요”
입력 2015-06-10 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