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인사청문특위는 9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이틀째 인사청문회에서 황 후보자의 도덕성과 자질·능력 검증에 집중했다. 야당 의원들은 황 후보자 장남의 군복무 특혜 및 공무원 겸직규정 위반 등을 추궁했고, 여당 의원들은 정책 질의에 몰입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은 “장남의 대구 지역 군 복무기간과 황 후보자의 대구고검장 근무 기간이 겹치는데 우연의 일치로 볼 수도 있나”며 당시 장남의 부대 사령관과 황 후보자가 같은 모임에서 활동했다는 정황을 제시했다. 또 “아들의 군 시절 주특기가 보병에서 물자 관리병으로, 또 행정병으로 바뀐다. 의아스러운 점은 아들이 KT에 입사 원서를 쓸 때는 부관으로 기록했다. 실제 어떤 일을 했는지 애매하다”고 했다.
황 후보자는 “전혀 부끄러움이 없다. 아들의 자대배치는 훈련소에서 한 것이고, 제가 대구고검을 언제 떠날지 모르는데 혜택을 주려고 아들을 보냈겠나”고 반박했다.
같은 당 은수미 의원은 황 후보자가 2001년 기독교계열 재단법인 아가페의 이사로 취임한 뒤 겸직허가를 받았는지를 추궁했다. 은 의원은 “한 차례 허가를 받았지만 기간은 3년이었고 이후로는 허가받은 기록이 없다”고 물었다. 그러나 황 후보자는 “필요한 절차를 밟았다”고 답했다.
야당은 “부산 여자가 드세다”는 황 후보자의 과거 발언도 여성비하 발언이라고 몰아세웠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은 황 후보자의 과거 2차례 승진 탈락에 대해 “공안 탄압의 결과가 아니라 무능력의 결과”라고 황 후보자의 과거 ‘공안홀대론’ 발언을 비판했다.
새누리당 염동열 의원은 평창동계올림픽 준비상황과 관련, “지난 1년은 과잉투자 및 분산개최 논란으로 허송세월했다. 이제 그 논란은 종료돼야 한다”며 총리가 컨트롤타워가 돼 대회를 성공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틀째 청문회에서도 추가 의혹이나 구체적 물증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맥빠진' 청문회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황교안 청문회 이틀째… 맥빠진 야당 추궁
입력 2015-06-09 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