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종합관리 대책본부를 도지사와 교육감을 공동본부장으로 하는 체제로 격상하는 등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남경필 지사는 8일 오전 경기도 상황실에서 메르스 예방대응을 위한 시장·군수 영상회의를 열고 “메르스와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 도와 시·군, 교육청 간 소통과 협력으로 물 샐 틈 없는 대비와 빠른 대처를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영상회의에는 도내 31개 시장·군수와 박수영 행정1부지사, 김희겸 행정2부지사,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김원찬 경기도교육청 제1부교육감, 각 시군별 보건소장 38명, 시·군 교육지원청 교육장 25명 등이 참석했다.
도에 따르면 대책본부장이 도지사와 교육감으로 격상됨에 따라 메르스 종합관리대책본부의 기구도 확대된다.
상황 종료 시까지 24시간 근무체제를 유지하며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를 방역대책 부본부장, 박수영 행정1부지사를 행정지원 부본부장, 김원찬 1부교육감을 교육안전 부본부장, 강태석 재난안전본부장을 안전 부본부장으로 임명하는 등 분야별로 4개 부본부장 체계를 갖춘다.
이에 따라 대책본부는 경기도 메르스 예방과 자원분배, 학교 관련 등 메르스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공동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도는 매일 오전 8시30분에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주재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9개시 부단체장과 보건소장, 교육지청장이 함께하는 영상 정례회의를 갖는다.
또 매일 오전 9시에는 남 지사 주재로 행정1부지사, 행정2부지사, 사회통합부지사와, 도의 주요 간부, 교육청, 경찰청 등 유관 기관 관계자 등이 함께하는 일일점검 회의를 열어 현황파악과 대책마련에 나선다.
이날 회의에서는 메르스 관련 어린이집 대책과, 격리병원 지정에 따른 운영비 지원, 보건인력 부족한 평택시에 대한 인력 지원방안도 발표됐다.
먼저 도는 8~14일까지 부천과 평택, 화성, 안성, 오산, 성남, 용인, 남양주, 수원 등 확진환자 발생이나 경유 병원이 소재한 9개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휴원 명령을 내리기로 했다.
또한 맞벌이 부부 등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는 가정을 위해 도는 휴원 기간에도 긴급보육을 위한 당번교사를 배치, 아이들을 돌보도록 했다.
도는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지정하는 민간병원에 대해서도 소요경비를 지원한다.
도는 기존 4~8인 병실을 1인 격리병상으로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 도 예산을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도는 지원재원으로 재난관리기금 520억원과 예비비 583억원 등을 사용할 계획이다.
김원찬 1부교육감은 “공동대책본부 격상은 굉장히 의미 있는 일로 메르스 조기해결을 위해 정보공유, 유관기관 협력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8일 현재 전국 87명 확진환자 가운데 경기도민은 37명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경기도 대책본부 도지사, 도교육감 공동본부장 체제로 격상
입력 2015-06-08 1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