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비해야 한다”… 한국은행 국제컨퍼런스

입력 2015-06-08 10:24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 관계자들과 세계 경제 석학들이 모여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발생할 수 문제점을 경고하면서 경제 기초여건(펀더멘털)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이 8일부터 이틀간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하는 ‘2015 한국은행 국제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후루사와 미쓰히로 IMF 부총재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 정상화로 자산가격이 상승하고 신흥국에선 대규모 자본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리 인상으로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특히 신흥국 시장의 리스크가 클 것이며, 신흥국 시장 위기가 선진국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에 같은 목소리를 냈다. 필립 레인 트리니티대 교수는 일부 신흥국을 중심으로 대외 금융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레인 교수는 “신흥국 대외금융 리스크는 1999~2008년 경상수지 흑자와 주식형 부채의 증가, 유동자산 증가에 힘입어 크게 개선됐지만 2010년 이후 일부 국가에서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서고 채권형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제금융시스템에서 신흥국 비중이 늘고 있어 신흥국 정책 오류 발생 시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동 허 IMF 부국장은 “신흥국 시장으로 자본유입이 꾸준히 늘었는데 금리 정상화 과정에서 싱흥국 채권가격이 하락하면 선진국 비은행 부문의 리스크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개별펀드의 유동성 위험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금융기관과 자산운용업계 간 연관관계와 금융의 경기순응성 등에 따른 위험요인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통화정책 정상화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 공조와 함께 정부와 중앙은행이 협력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후루사와 부총재는 “미국이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한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흥국은 경제구조개선과 건전한 통화·재정·외환 정책을 통해 거시경제 기초여건(펀더멘털)을 강화하고, 선진국은 건전성 정책을 활용해 금융불안정을 방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개회사를 통해 “통ㅎ와정책 운용이나 금융안정 면에서 국가간 협력이 긴요하다”며 “주요 선진국의 중앙은행은 정책 운용에 있어 투명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다른 나라 주앙은행과 긴밀히 소통해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따.

윌리엄 화이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개발검토위원회 위원장은 중앙은행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위기대응이 국면에 따라 달라야 한다”며 “초기단계에서는 금융시장 상황에 유연하고 비정형적인 방식으로 대응하는 중앙은행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중앙은행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금융의 건전성 회복이 중요한 위기해결 단계에서는 정부 역할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