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제2차 세계대전 및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아 일제의 만행이 담긴 새로운 사료 38종을 추가로 공개했다.
이는 중국이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전방위적인 ‘일제만행 알리기’의 일환으로서 대일 과거사 공세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6일 중국 신경보에 따르면 수도권인 베이징, 톈진, 허베이 등 3지역 당안국(기록보관소)은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을 기념하는 공동 당안(사료)문헌 전시회를 통해 미공개 사료들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베이징과 톈진 당안국은 오는 9일 전시회를 시작하며 허베이는 추후에 전시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이번에 전시를 통해 공개되는 사료들은 38종 총 560건에 달한다.
신경보는 전시회 개막에 앞서 사전취재를 통해 새로운 사료들의 내용을 미리 공개했다.
이 가운데에는 “일본군이 17세 소녀를 강간했다”, “일본군 1813부대 차량이 베이핑(北平.베이징의 옛이름)에서 어린 여자아이를 치여 죽게 했다”는 등의 피해자와 유가족들의 증언이 포함돼 있다.
또 1944년 당시 베이징에서 강제노동에 동원된 노동자 12만명의 명단도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들 중 대다수는 13∼14세의 어린이였다.
신문은 이 명단에 대해 “일본군이 중국인에게 강제노역을 시킨 역사적 증거”라고 평가했다.
또 허베이성 탕산시 펑룬현의 한 마을인 판자위에서 일어난 대규모 학살사건 조사결과도 공개됐다.
판자위촌은 제2차대전 기간 항일요새였던 곳으로, 1941년 1월25일 일본군은 마을 주민들을 대거 학살했다.
판자위촌은 1946년 자체조사 결과 이곳에서 주민 1174명이 살해되고 가옥 1975채가 파손됐으며 가축 800여마리가 도살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최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역사 행보에 대한 회의론이 점점 강해지는 가운데 ‘과거사 공세’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중국은 난징대학살 참상과 역사적 교훈을 가르치기 위한 중학생용 교재를 제작해 보급하고 일본군 제731부대 유적지와 관련 건물을 보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왔다.
그럼에도 중국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4월 시진핑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한 이후 역사 인식이나 영유권 분쟁을 놓고는 대립하면서도 필요한 분야에서는 전략적인 협력을 이어가려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일본 정부와 최근 약 5년 만에 범죄인 인도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재개하고 3년여 동안 중단된 재무장관 회담도 재개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중국, “일본군이 17세 소녀 강간했다” 유가족 증언 포함, ‘일제 만행’ 새로운 사료 추가공개
입력 2015-06-07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