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구축을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연간 1000만명이 방문하는 DDP에 비콘(Beacon)기반의 고객 서비스, 무선 센서기반의 관제 시스템, 비콘 및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상권 확대에 나선다.
비콘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해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기존 무선 통신인 NFC와 달리 근접하지 않아도 정보수신이 가능하며, 위치확인장치(GPS)로는 불가능했던 실내에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이 가능한 IoT 기술이다.
LG유플러스는 축구장 약 3배 크기의 DDP에서 고객이 쉽게 전시시설을 찾을 수 있도록 비콘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고객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실제 실내 사진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쉽게 전시 공간 및 원하는 목적지를 찾을 수 있는 ‘스마트 3D 도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형태로 최초 제공할 예정이다.
주차장에 비콘으로 내 주차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찾을 수 있는 ‘내차 위치 안내’ 서비스, 전시관 바로 앞에서 전시내용을 확인하고 바로 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 ‘모바일 발권 시스템’ 그리고, 본인의 스마트폰으로 작품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스마트 비디오 도슨트’, DDP 살림터에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는 ‘모바일 카탈로그’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적용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초대형 건축물인 DDP를 위한 무선 센서 기반의 관제 시스템을 도입한다. DDP 곳곳에 작년 국내 상용화한 지웨이브(Z-Wave) 기반으로 ‘무선 센서 인프라’를 구축해 이 정보를 클라우드 정보로 변환해 DDP를 빈틈없이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DDP의 전시관람 고객이 동대문의 다양한 문화 체험 및 쇼핑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전시회 티켓의 ‘QR코드’를 인식하면 동대문 상권의 다양한 정보 및 할인쿠폰 등을 제공하고 ‘U+도보내비’를 통해 매장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LG유플러스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IoT 서비스 6월부터 구축 착수
입력 2015-06-07 1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