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정국 최대 수혜자?” 황교안 청문회 D-1...총리 잔혹사 종결 가능성

입력 2015-06-07 09:50

황교안 국무총리후보자 인사청문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7일 여야는 모두 철저한 검증을 선언, '창과 방패의 대결'을 예고했다.
새누리당은 이미 법무부장관을 역임하며 총리로서의 자질이 확인됐다면서 청문회를 통해 이를 입증할 것이라며 야당의 근거없는 공세에는 적극 맞서겠다고 밝혔다.
반면에 일찌감치 황 후보자를 '공안총리'라고 규정한 새정치민주연합은 황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철저히 추궁해 왜 총리로서 부적격한지를 증명하겠다며 검증의 칼날을 갈고 있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황 후보자의 부실한 자료제출을 이유로 청문회 보이콧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어 청문회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황교안 청문회는 역대 총리 후보들보다 기간이 하루 더 긴 사흘간 실시되기 때문에 검증과정에 더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그동안 황 후보자에 대해 제기됐던 문제들은 만성 담마진(두드러기)으로 인한 병역 면제, 법무법인 태평양 근무 시절 고액 수임료, 역사관 및 종교적 편향성, 법무부 장관 시절 국정원 댓글사건 등 정치사건 대처 논란 등이다.
황 후보자는 그동안 각종 의혹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청문회에서 밝히겠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회피해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공방은 청문회에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 시점에서 여야간 가장 첨예한 쟁점은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수임 문제다.
인사청문특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의원 등은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수임내용 중 세부사항이 삭제된 19건 자료를 직접 검증하기 위해 전날 서울 서초구의 법조윤리협의회를 방문하기도 했다. 다만 법조윤리협의회에서 자료 공개를 거부해 해당 자료를 아직 검증하지는 못했다.
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황 후보자가 변호사 시절 수임한 사건 대부분에 대해 선임계를 제출하지 않아 변호사법을 위반했다는 주장을 하며 주로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수임건 관련 의혹들을 집중 제기하고 있다.
야당이 요구한 청문회 증인 4명도 모두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채택된 인물들이다.
채택된 증인은 정의당 노회찬 전 의원(삼성 X파일 사건), 강용현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전관예우 논란), 이홍훈 법조윤리협의회장(변호사 시절 사건 수임), 김한규 서울지방변호사회장(전관예우 논란) 등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