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의심자의 개인정보 공개는 혼란을 막는 조치일까, 오히려 공포와 혼란을 가중하는 것일까.
이재명 성남시장이 페이스북에 성남시 거주 메르스 의심 환자의 거주지 등을 공개해 일부에서 논란이 일자 이 시장이 이를 반박하는 글을 또 다시 올리는 등 공방이 오가고 있다.
이 시장은 6일 오후 8시 10분쯤 페이스북에 메르스 사태와 관련된 성남시 조치를 알렸다. 메르스 감염 의심자 A씨의 동선과 현재 상황을 설명하면서 A씨의 주거지와 직장, 자녀가 다니는 학교 등을 실명으로 공개했다.
A씨는 현재 병원에 격리 중이며 1차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2차 검사 중이다. 열이 나기 시작하자 마스크를 착용하고 출퇴근 했으며, 자가용을 이용해 접촉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글이 올라간 직후 이 시장이 거주지 등을 공개한 것이 중앙정부의 방침과 배치된다는 비판이 나왔다. 중앙정부는 불필요한 혼란과 공포 확산을 막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 병원과 지역 명칭 등을 비공개로 하고 있다.
논란이 계속되자 이 시장은 오후 11시가 넘어 다시 글을 남겼다. 이 시장은 “이름, 나이, 주소 등은 하나도 알려주지 않았고, 감염병 발생 및 예방을 위한 최소한의 정보만 공개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사스 사태 때 홍콩이 환자의 아파트 동까지 공개했고, 에볼라 사태 때 미국이 환자 이용 식당과 환자 이름까지 공개했다는 보도 내용을 제시하며 “혼란과 불안을 억제하고 시민들로 하여금 합리적인 대응을 하게 하는 방법은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이재명 성남시장 "혼란 막기 위해 정보공개 필요"
입력 2015-06-07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