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회생불능 연명치료 중단 90% 원해” 부모.배우자인 경우 63%에 그쳐

입력 2015-06-05 14:30

한국갤럽이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6명에게 회생 불능 상태의 환자에 대해 가족이 합의하면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대한 찬반을 물은 결과 77%가 '찬성'했고 15%는 '반대'했으며 8%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역, 성, 연령, 지지정당, 종교 등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대한 '찬성'이 70%를 넘는 가운데 특히 4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는 약 80%에 달했다. '반대' 입장은 상대적으로 저연령일수록 많았다(20대 24 60세 이상 8%).

2013년 8월 조사에서도 '찬성' 78%, '반대' 17%로, 이번 결과와 거의 비슷했다.

만약 본인이 회생 불능 상태가 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물은 결과 90%가 '연명치료를 중단하라고 하겠다'고 답했으며 4%만이 '그렇지 않다', 6%는 의견을 유보했다.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중단을 원한다'는 입장이 80%를 넘었다.

선행 질문에서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를 반대한 사람(147명) 중에서도 73%는 '본인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을 원한다'고 답했다.

한편 본인이 아닌 가족, 즉 부모 또는 배우자가 회생 불능 상태가 될 경우에는 63%가 '연명치료를 중단하라고 하겠다, 24%는 '그렇지 않다', 13%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별로 '회생 불능 부모·배우자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 입장이 우세했고, 세대별로는 고연령일수록 '중단'이 더 많았다(50대 이상에서는 약 70%). 20대에서는 '중단하겠다'(44%)와 '그렇지 않다'(38%)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현재 20대는 대부분 미혼으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 부모 중 대다수는 50대로 아직 중년기에 속한다.

본인이 회생 불능일 때는 90%가 '연명치료 중단'을 선택했으나 다른 가족에 대해서는 그 비율이 63%에 그쳐 본인과 가족에 대한 입장은 좀 달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였다. 응답률은 14%(총 통화 6,964명 중 1,006명 응답 완료)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