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을 함께 겪은 이들의 공감대는 국경을 초월했다. 당시 흥남철수 작전에 참여한 미국 상선 메리디스 빅토리호의 선원 로버트 루니(83·변호사)씨 역시 국제시장을 보고 눈시울을 붉혔다.
“유일하게 아는 한국말은 ‘빨리빨리’였습니다. 우리는 단 한명이라도 더 배에 태우려고 안간힘을 썼습니다. 진정한 영웅들은 자유를 얻으려 모든 것을 버리고 우리에게 달려온 이들입니다.”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노병들과 미국 의회, 한인단체, 주미 대사관 관계자들 300여명이 한 자리에 모였다.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의회 오리엔테이션 영화관에서 열린 영화 ‘국제시장’ 특별상영회에 참석했다.
연방 의사당에서 한국 영화가 상영된 건 처음이다. 한국전 참전용사 출신인 찰스 랭글(민주·뉴욕) 하원의원과 대표적 친한파 의원인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이 주최한 행사여서 더욱 의미가 있었다.
국제시장은 한국전쟁 피란길에 아버지를 잃고 가장이 된 덕수(황정민)가 가족을 위해 헌신하며 살아가는 삶을 그린 영화다. 파독 광부 파견, 베트남 참전 등 아픈 근현대사를 일일이 짚어냈다. 특히 극 초반 흥남철수 장면은 우리의 쓰라린 기억을 되살린다. 바닷가로 쏟아져 나온 피란민들이 배에 오르기 위해 처절하게 몸부림치는 모습이 고스란히 재현됐다.
상영회 도중 노병들은 눈물을 훔치며 영화를 관람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상황이 생생하게 떠오른 탓이다. 등에 아기를 업고 다른 아이들 손은 꽉 붙잡고 있던 여인, 큰 아이들을 코트 안에 숨겨뒀던 노인, 선상에서 출산을 한 산모…. 일부 선원은 배에 탔던 피란민들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회상하기도 했다.
지난 1월 만난 윤제균 감독은 “국제시장에 담고자 한 본질은 바로 소통과 화합이었다”고 설명했다.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은 물론 지역·계층 간 화합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싶었다는 게 그의 말이다.
영화는 감독의 의도를 넘어서 국경을 넘는 공감과 화합까지 이끌어내고 있다. 국제교류재단(KF), 우드로윌슨센터와 함께하는 상영회는 미국 전역 주요 지역을 돌며 이어질 예정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