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진 의사 A씨(38)가 “메르스 감염 사실은 꿈에도 몰랐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A씨는 5일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사전 격리 조치를 무시하고 시민 1000여명 이상과 접촉한 것이 사실이냐는 질문에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답했다. 이어 A씨는 “지난달 31일 전까지는 자신이 메르스 환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 없다”고 밝혔다.
A씨는 “서울시가 주장한 그런 개념 없는 행동을 한 번도 한 적 없다”며 “서울시는 기자 회견 전에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전화 한 통 없었으며 나를 한순간에 전염병 대유행을 일으킬 개념 없는 사람으로 만든 것에 화나고 분통 터진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A씨는 지난달 27일 응급실에서 14번 환자와 접촉했느냐는 질문에 자신의 환자가 아니라고 답했다. 이어 A씨는 “혈관의 일부가 막히는 색전증 환자의 초음파를 보기 위해 응급실에 약 40분 정도 머물렀지만 14번 환자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답했다.
서울시는 A씨의 메르스 관련 경미한 증상이 지난달 29일부터 나타나 30일 심화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A씨는 “31일 이전에는 평소 고통받던 알레르기성 비염 외에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고 밝혔다.
A씨는 30일 행적에 대해 “병원 심포지엄, 재건축 조합 총회에 참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메르스 감염사실은 꿈에도 몰랐다”고 말했다. 이어 A씨는 “31일 일요일 아침 회진을 도는데 27일 색전증 환자가 메르스 확진 환자와 접촉했다는 이유로 격리 대상에 포함되었다”며 감염 사실을 의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A씨는 ‘31일 아침’부터 시작된 본격적인 메르스 증상 때문에 “심포지엄에 참석하지 않고 자가용으로 퇴근했다고 말했다”며 심포지엄에 참석했다는 서울시와는 다른 입장을 밝혔다. 이후 A씨는 발열증상이 심해지자 삼성서울병원의 질병관리실에 전화해 담당자로부터 “보건소에 즉각 연락하라”고 권고 받았다.
A씨는 보건소에 갔냐는 질문에 “강남보건소와 통화해 자가 격리 조치를 받았고 이후 격리 병동을 내준다는 말에 자가용으로 혼자 입원했다”고 답했다. 이어 A씨는 “31일 증상이 나타난 후 집사람 외에 밀접 접촉한 사람이 전혀 없다”며 “제가 의사인데 감염병 증상에 어떻게 대처할지 정도는 안다”고 말했다.
A씨는 2일 메르스 감염 최종 판정을 받고 서울대병원 국가 지정 격리병동으로 이동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개념 없는 사람 아니다” 메르스 1600명 접촉 의사 입 열었다
입력 2015-06-05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