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갈수록 확산되는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해 총대를 사실상 메고 나섰다.
박 시장은 지난 4일 밤 서울 소재 메르스 환자 관련 긴급 브리핑을 갖고 보건당국의 미온적인 조치를 정면으로 조목조목 지적했다. 그리고 메르스 대책본부장을 맡아 직접 챙기겠다고 선언했다.
박 시장은 “지난 1일 35번째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 강북지역 한 병원 의사가 격리 통보에도 불구하고 재건축조합 총회 참석자 1565명과 접촉했다”고 밝혔다.
현재 격리 중인 이 환자는 메르스 의심 판정 이후 확진까지 불특정 다수와 접촉해 서울시내 2, 3차 감염 공포가 커지게 됐다. 이 환자는 지난달 27일 메르스 의심환자로 분류돼 자택격리 통보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달 30일 서울 양재동 L타워에서 1565명이 참석한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했다..
지난달 31일부터 기침과 가래, 고열 증상에 시달린 이 환자는 오후 9시40분 한 병원에 격리됐습니다. 이후 이튿날인 6월 1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박 시장은 이런 엄중한 상황에 대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정보를 공유받지 못했다고 강조하면서 ”서울시 담당공무원이 6월 3일 늦은 오후에 개최된 보건복지부 주관 대책회의 참석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인지하게 된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35번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갖고 있지 않았고 이후 동선은 물론 1565명의 재건축 조합 행사 참석자들 명단도 확보하고 있지 않았다”며 관리본부와 보건복지부를 질타했다.
박 시장이 ‘메르스 대책본부장’을 자처한 까닭은 사태의 심각성을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정부를 믿고 더 이상 방치했다가는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어 적극 대처해야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박 시장의 대권 행보와 연관지어 해석하기도 합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현 정부가 초기 대응 실패, 병원 정보공개 요구 거부 등 국민들의 질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총대를 매는 모습을 통해 확실히 차별화하겠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대권 행보 여부를 떠나 지자체장이 메르스 사태에 적극 대처하는 모습에 서울 시민들이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박원순, 메르스 대권 승부수 던졌다?” 대권행보 여부 떠나 적극 대응 자세...다른 후보와 차별화 성공
입력 2015-06-05 08:26 수정 2015-06-05 0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