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메르스 확진 의사가 시민 1600여명과 접촉했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발표를 부정하고 나섰다.
35번째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인 서울의 한 대형병원 의사(38)는 지난달 30일 1565명이 모인 개포동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했다. 자택 격리 기간 중 외부로 나가 1600여명과 접촉했다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이에 보건복지부가 사실과 다르다며 해명에 나섰다. 복지부는 “1600명을 격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35번째 환자에 대해 4일 이전 서울시와 긴밀히 협의하면서 정보를 제공했고 서울시 역할을 당부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재건축조합 총회 참석자 명단을 획득하는데 서울시가 협조하도록 당부했다”며 “만일 서울시에서 명단 확보가 어려우면 복지부에서 경찰에 협조를 구해 확보하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복지부는 “서울시가 대책을 요구했음에도 복지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보건당국은 서울시가 메르스 확진 의사와 같은 장소에 있던 1600여명에 대해 격리 조치에 나서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해당 환자가 초기에 증상이 경미했고, 모임 성격상 긴밀한 접촉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인원의 격리 조치 역시 절적치 않다는 견해다.
복지부는 “(35번째 환자와 관련) 병원 내 49명, 가족 3명 등 밀접 접촉자에 대해 자가 격리 조치와 함께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며 “접촉 위험도를 감안해 지침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복지부 “메르스 확진의사 접촉 1600명 격리 부적절”
입력 2015-06-05 08:21 수정 2015-06-05 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