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서울 강남이 뚫렸다” 메르스 확진 의사, 수천명 접촉...서울 전역 확산 우려

입력 2015-06-05 00:03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이 의심되는 격리 관찰 대상자가 연일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서울의 한 의사가 자가격리 상태에서 1천명이 넘는 대형 행사에 참석한 것으로 드러나 자가격리 대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정부의 격리 대상자에 대한 통제도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소재 종합병원 의사인 35번(38) 환자가 지난달 30일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상황에서 병원 심포지엄과 1천565명이 모인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했다.

서울시는 재건축조합 총회 참석자 명단을 확보해 이날 중 모두에게 연락, 자발적인 자가 격리를 요청할 계획이다. 메르스의 지역사회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는 이와 관련, 서울시가 격리를 요청한 사람들을 격리 대상자에 포함시킬지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

앞서 보건당국은 이날 오전 격리 대상자가 1천667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달 30일 129명에서 불과 닷새 만에 12배나 급증한 것이다. 여기다 1천500여명을 추가하면 사실상 기하급수적 증가다.

다만, 보건당국은 메르스 의심 환자를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고, 메르스 확진 환자가 증상이 있는 동안 밀접하게 접촉한 자'로 규정하고 있어 격리 대상자 범위는 조정될 수 있다.

지난달 29일 자가 격리 조치된 35번 환자가 이튿날 버젓이 서울시내를 활보한 것은 보건당국이 당시부터 격리 대상자에 대한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만약 격리 대상자가 조만간 3천명을 초과할 경우 일선 보건소 인력 자체가 부족해 이들에 대한 관리가 전보다 느슨해질 가능성이 크다. 통제불능 상황으로 접어드는 것이다.

아울러 보건당국은 격리 대상자 중 50세 이상으로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 시설 격리를 유도할 계획이었으나 시설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당초 목표가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

의심 환자 등에 대한 격리 조치가 철저히 이뤄지지 않으면 지역사회 내 감염 차단도 더욱 어려워진다. 의료기관 내 감염이라 아직 괜찮다는 보건당국의 입장 역시 설득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