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국 베이징에 생활의 거점을 두고 공연과 사회활동으로 분망한 나날을 보내는 그를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고 조선신보는 전했다.
평양에서 태어난 김송미 가수(29살)는 평양음악대학과 러시아 유학을 통하여 클래식 창법을 전공하고 음악적 기반을 다졌다고 전했다..
2010년부터 중국 베이징에 거주하게 된 그는 현지에서 다양한 음악활동을 전개해왔으며 조선예술교류협회 대리인으로서 평양에도 자주 가고 여러가지 예술교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2년 8월에 조선어와 중국어로 동시에 번역된 CD앨범 《수양버들》(꿈에 본 고향)을 발표한 이래 현재까지 북한 노래와 세계적인 명곡들 그리고 자신이 작사, 작곡한 노래들을 담은 총 6장의 앨범을 내놓았다.
2013년 11월에 운남성 곤명시에서 개최된 제13차 아시아예술제에서는 우수공연상을 수상한바 있으며 같은해 12월에 진행된 모택동주석탄생 120주년기념공연과 국제장애인의 날기념 자선공연을 비롯하여 중국내의 주요공연무대에도 올랐다. 지난해 12월에는 중국 CCTV에서 방영된 프로그람 《中華情―記憶中的歌聲》에 출연하여 조선영화 《꽃파는 처녀》의 주제가와 《남강마을의 녀성들》의 주제가인 《내 고향의 자랑》을 중국어판으로 불러 반향을 일으켰다.
그는 대중가요를 클래식 발성으로 부르는 이른바 크로스오버(Cross over)의 쟝르를 북한 음악에 도입하는 등 높은 실력에 담보된 새로운 음악세계를 펼쳐보임으로써 현지 가요계에서 호평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그의 목소리에 대하여 《도시적인 감성과 향토적인 서정성을 갖춘 보기 드문 음색》, 《아름다움과 부드러움이 함께 묻어나오는 감미로운 목소리》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음악을 통하여 이 세상에서 함께 생을 누리는 사람들의 공감대를 만들고싶다는것이 가수로서의 소박한 염원이라고 이야기하는 김송미 가수. 여러가지 음악쟝르를 배합하여 새것을 창조하자는 시도도 이러한 생각에 바탕을 두고있다.
이역에서 분단된 조국땅을 바라보게 되면서부터 통일에 대한 소원이 더욱 간절해졌다고 하는 그가 현재 주력하고있는것은 음악을 통해 우리 민족의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이다.
그의 최신 CD앨범 《봉선화》(2014년 10월 발표)에는 《봉선화》, 《고향생각》, 《찔레꽃》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널리 전해오고있는 계몽기가요 12곡이 수록되여있다. 1920년대부터 해방전까지의 시기에 나온 계몽기가요는 조선민족의 눈물겨운 처지와 민족적울분, 일제침략자들에 대한 항거의 감정을 반영한 노래로서 오늘도 북과 남, 해외 할것없이 널리 불리우고있다.
조국해방 70돐을 맞는 뜻깊은 이 시기에 민족의 단합과 통일을 이룩하는데 조금이나마 힘이 되고싶다고 말하는 김송미 가수. 그는 앞으로도 조국과 민족을 위한 길에서 음악활동을 벌려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김송미 가수>
1985년 8월 평양에서 출생.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과 로씨야류학을 통하여 클라씨크창법을 전공. 2010년부터 중국 베이징에 거주. 2012년 10월 로씨야의 권위있는 국제성악콩클인 마고마예브콩클에 초청을 받고 참가. 2012년 8월에 첫 CD앨범 《수양버들》(꿈에 본 고향)을 발표. 현재까지 총 6장 발표. 중국내에서 다양한 음악활동을 전개한다. 재중조선인청년련합회 중남지구협회 회장. 조선예술교류협회 대리인.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