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갈 대통령, ‘일본 문화유산 세계유산 등재’ 한국 입장 지지

입력 2015-06-04 19:39 수정 2015-06-04 19:42
세네갈의 마키 살 대통령은 4일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와 관련해 "투표하는 과정으로 가기 전에 합의점을찾기 위해 한일 양국 간에 대화를 촉진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한국을 공식 방문한 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롯데호텔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협상을 통한다면 어떻게 하든지 해결책은 나올 수 있다는 희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네갈은 21개 국가로 구성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부의장국을 맡고 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인 강제노동의 한이 서린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이달 28일부터 열리는 회의에서 최종 결정하게 된다.
살 대통령은 "이 주제에 대해 아직 일치점을 찾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서로 우호관계인 한국과 일본에 토론을 계속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저희 입장"이라며 이런 입장을 이날 오전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밝혔다고 전했다.
그는 "위원회에서 바로 투표를 하는 과정으로 가기 전에 충분한 대화의 과정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일본 측에서 물어봤을 때도 대답을 드린 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뷰에서 살 대통령은 과거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거점이던 세네갈의 '고레 섬'을 사례로 들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신대륙에 노예로 팔린 흑인들의 집결지였던 고레 섬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그는 "인류 최악의 범죄라고 하는 노예무역의 생생한 상징인 이곳은 오늘날 인류가 기억하는 장소로 남았다"며 "용서는 했지만 망각은 되지 않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러기에 한국과 일본도 서로 협의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일이 접점을 찾지 못해 표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기권을 한다든가 세네갈 스스로 양국으로 하여금 더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우리는 화해를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세네갈 관계와 관련해서는 자신을 포함한 역대 대통령 4명이 모두 방한한 것을 들며 "협력관계가 점점 더 증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수출입은행이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지원한 여러 협력 사업을 언급하면서 "세네갈 도약 계획(PSE)으로 불리는 저희의 경제·사회 개발정책이 굉장히 활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원을 넘어 진정한 의미의 '윈윈' 협력이 되길 기대한다"며 "세계적 역량을 가진 한국 기업들이 세네갈에서 곧 있을 여러 입찰 등에도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수교를 맺고 있는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한국과 갖고 있는 우호관계의 수준은 되지 못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이 최근 세네갈 수도 다카르에 대사관을 재개관했다며 "정상적인 관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살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의 초청으로 오는 7일까지 공식 방한하며, 한국 기업인 등을 만나고 부산 부경대에서 명예 공학박사학위도 받을 예정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