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비상] 여·야, 메르스 비상대책특위 가동

입력 2015-06-04 22:48
여야는 4일 메르스 확산 문제와 관련해 각각 대책 특위를 가동하고 긴급 전문가 간담회를 여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여야 가릴 것 없이 국가비상 상황을 맞았다고 판단, 사태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추가 확산이 없도록 감염 고리를 확실히 끊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괴담꾼의 놀이터가 되지 않도록 하려면 정부가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메르스 비상대책특위’의 긴급 전문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분간 메르스, 메르스…. 다른 것은 얘기할 것 없다”고 했다. 일각에선 당 지도부가 국회법 개정안 논란으로 당청 및 당내 갈등이 노출된 상황에서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당의 ‘투톱’인 김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 전문가 등이 참석한 긴급 전문가 간담회에선 메르스와 관련한 정보 공개 범위를 놓고 의견차가 드러났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이재갑 교수는 메르스 환자를 치료한 병원을 공개해야 한다는 당의 주장에 대해 “환자들이 더 공포감을 갖고 내원하지 않거나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수술을 못 받게 되는 피해를 볼 수 있다”면서 “상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면서도 초기 대응에 실패한 ‘무능한 정부’를 거듭 질타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6월 민생국회의 첫 번째 과제는 메르스 사태를 진정시키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잘가라 노후원전'이라는 주제로 열린 행사에 참석, “(정부) 대응을 보면 세월호 참사 때와 마찬가지로 무능하고 부실하기 짝이 없다”고 날을 세웠다. 또 2003년 참여정부 당시 사스(SARS)가 번졌을 때 청와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구축했다면서 “그때 경험을 되살려 메르스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직접 나서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했다.

추미애 메르스 대책특위 위원장은 “사건이 발생하고 무려 2주나 지나 긴급 점검회의가 열렸다”며 “세월호 참사 때도 대통령은 보이지 않더니 메르스로 인한 국가 비상사태에서도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강동원 의원은 감염자가 300만명 수준일 때 중앙대책본부를 가동하겠다는 국민안전처의 입장에 대해 “치사율이 8%라고 하면 24만명이 죽어야 중대본을 구성하겠다는 건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보기]












김경택 문동성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