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정부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관련 대응 방식을 거듭 비판했다.
새정치연합은 박근혜 대통령이 책임 있게 사태에 대응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정부의 '비공개 원칙'을 비판하며 메르스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4일 원내대책회의에서 "6월 국회를 '민생 올인' 국회로 만들자"며 "(그) 첫 번째 과제는 메르스 사태를 진정시키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초기 대응 실패에 이어 격리 대상자가 외부 활동을 했다"고 정부 대응을 비판하면서도 "책임을 물을 때는 아니다. 우선 국민 불안 해소가 우선"이라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확산을 막고 대처 방안을 국민께 알리라'고 한 것은 아직도 위기 상황을 제대로 인식 하지 못한 것 같아 걱정"이라고 청와대의 적극적 대응을 주문했다. 강기정 정책위의장도 "국민들이 이 더위에 마스크 쓰고 출퇴근하고 있다. 학교도 휴교하고 아파도 병원을 찾기 두려운 일상생활의 파괴가 일어나고 있는데, 여전히 대통령은 먼 산 보듯 하고 있다"며 "복지부 장관을 넘어서 대통령이 책임지는 범정부 기구를 만들고 책임지는 역할을 하라"고 주장했다.
새정치연합 메르스 대책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추미애 최고위원도 이날 원내회의에 참석해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은 메르스 공기 감염 경로를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고 언급했다.
추 최고위원은 "대통령은 '개미 한 마리도 지나가지 못할 만큼 철저한 방역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었어야 하지만, 오히려 '국민이 괴담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라. 지나친 공포감을 갖지 않도록 하라'는 보고자 말을 청취한 것으로 대신했다"고 박 대통령을 비판하면서 "우리나라 같은 대통령중심제 국가는 대통령이 움직이지 않으면 공무원이 복지부동한다는 것을 세월호 참사 때도 지켜봤다"고 지적했다.
강동원 의원은 국민안전처의 '300만 명 정도 감염돼야 비상사태' 발언에 대해 "메르스보다 더 무서운 것은 무능하고 무책임한 박 대통령의 대처 수준"이라며 "국민안전처는 감염 수준이 300만 명이 돼야 중대본을 가동할 단계라고 밝혔는데, 유럽 질병예방통제청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메르스 치사율은 8%라고 한다. 24만 명이 죽어야 중대본을 구성하겠다는 것이냐. 이게 제정신을 갖고 있는 정부 담당자가 할 수 있는 얘기냐"고 격분을 드러냈다.
강 의원은 "도대체 국민을 뭘로 알고 이 따위 망발을 서슴지 않고 있는지 통분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며 "환자를 수용했던 병원과 정부가 독점하는 모든 정보를 국민 앞에 진실되게 소상히 밝힐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메르스로 24만명 죽어야 중대본 설치?..제정신이냐” 野 “대통령 먼 산 보듯 하고 있다”
입력 2015-06-04 1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