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 개정안 처리 이후 여권 내홍에 대한 책임론이 난타전 국면으로 번지고 있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책임론이 연일 거듭되는 가운데 비주류 의원들이 청와대에 대한 불만을 쏟아냈다. 청와대와 유 원내대표는 같은 사안을 놓고 서로 해석을 달리해 진실게임 양상도 나타났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3일 “(여야 합의가 이뤄진) 지난달 28일 밤 청와대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은 당에 ‘국회법 개정은 안 된다’는 뜻을 분명히 전했다”며 “‘설령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국회법 개정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당청 고위관계자의 대화를 이례적으로 먼저 공개하며 유 원내대표를 압박한 것이다. 청와대의 강수는 국회법 개정안 통과의 책임이 유 원내대표에게 있음을 거듭 강조하는 ‘고립전략’을 펼쳐 ‘결자해지(結者解之)’를 촉구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유승민 책임론’을 거론한 당내 인사들의 논리와도 맥이 닿아 있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원내지도부가) 시간이 걸리더라도 청와대와 전략적 조율을 끝낸 뒤 다음 단초를 끼웠어야 한다”며 “어디까지가 사실인지는 모르지만 (최고위원회의 당시 나는) 몰랐다”고 했다. 이장우 의원도 “(유 원내대표가) 청와대와 상당히 조율된 것처럼 얘기를 했기 때문에 최고위원들이 그렇게 받아들였다고 한다”며 “의총에서도 여러 의원들이 위헌성을 얘기했는데 (지도부가) 문제가 없다고 계속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지금의 혼란은 유 원내대표가 청와대 의사를 당에 정확히 전달하지 않고 무리하게 강행했기 때문이라는 논리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을 만나 “그 이야기는 잘못된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유 원내대표는 “자세한 말은 하지 않겠다”면서도 “(이 실장이 통화에서) 국회법 개정안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는 했지만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 측은 “청와대의 우려는 충분히 설명했고 당내 율사 출신 의원들과 상의 후 지도부가 함께 결정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러 가운데 비주류 중진의원들 사이에선 청와대에 대한 비난도 터져 나왔다. 이재오 의원은 “청와대가 하는 일을 보면 생각이 있는지 의심이 들 때가 많다”며 “환자가 죽어나가는 데 청와대가 앞장서서 정쟁 유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고도 딴 말을 할 수 있는 양심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국회법 개정안은 유 원내대표가 의총에서 위임을 받아 처리한 것”이라며 “협상 과정에서 야당의 요구를 많이 막아낸 유 원내대표를 격려해야지 그만두라고 할 게 아니다”고 옹호했다.
김무성 대표는 당청 갈등 중재에 부심했다. 그는 오전 서울대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은) 당의 정신적 지도자”라며 “존중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당청관계가 과거처럼 일방적으로 대통령이 한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따라가는 상황이 아니란 건 분명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기]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새누리, 국회법 개정안 책임론 난타전… 진실게임 양상까지
입력 2015-06-03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