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비상] 朴대통령, 대응책 직접 챙기기… 늑장대응 논란 불끄기

입력 2015-06-03 21:37

박근혜 대통령이 3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관련 대책회의를 처음으로 주재한 자리에서 확실한 대처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주재한 메르스 대응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는 메르스 환자 사망 및 3차 감염자 발생 등 메르스 확산 사태로 국민의 불안과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다 초기대응 실패 등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열렸다.

◇박 대통령 “대응 문제점 점검, 대처방안 적극 진단”=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부의 메르스 초기 대응의 문제점 점검, 향후 대처방안 등을 확실하게 정하고 이를 국민에게 알릴 것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부터 이번 메르스 대응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확실하게 점검을 하고 그 다음에 현재의 상황, 그리고 대처 방안에 대해 적극적이고 분명하게 진단을 한 후에 그 내용을 국민께 알려야 한다”고 지시했다. 첫 메르스 감염환자 발생 이후 지금까지 소극적이고 지나치게 원칙적이었던 보건당국의 초기 대응에 문제점이 있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번 긴급회의 논의 주제에 대해선 “첫번째는 환자의 치료와 처리 과정 및 감염 경로, 그 다음에 치료 의사들의 어떤 이동 방향 등에 대해 논의를 해야 한다”며 “또 그 이후에 접촉 환자의 진료기관, 또 진료의사 등 환자들의 이동 경로가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메르스 환자들의 치료, 환자들이 있는 격리시설이 이런 식으로 가서 되느냐는 상황에 대해서도 한 번 확실하게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또 “더 이상 메르스가 확대되지 않도록 완전한 격리방안에 대해 우리가 진지하게 논의하고, 병원이나 관리자들을 어떻게 조금이라도 접촉했다면 확실하게 차단하느냐 하는 문제도 논의해야 한다”고 주문한 뒤 그 결과의 홍보 중요성도 강조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3차 감염자 대책, 메르스 관련 주요 여행국 여행자 및 입국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방안, 학생 및 학교주변 관리, 노약자 보호 대책 등도 당부했다.

◇청와대 늑장대응 도마 위에 오르나=박 대통령이 이번 회의를 주재한 것은 정부가 통제하는 격리대상자가 1300명을 훌쩍 넘는 등 사안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만큼 박 대통령이 직접 관련 사안을 챙기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메르스 첫 감염환자 발생한 지 2주가 지나도록 청와대가 직접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관리하지 않았다는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격리대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지고 확인되지 않은 괴담이 확산되는데도 청와대가 직접 나서지 않고,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에 관련 사항을 모두 일임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 대통령 역시 그동안 관련 회의를 주재하거나 질병관리본부 등을 찾는 등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일각에선 청와대가 국회법 개정안 대응에 ‘올인’ 하느라 국민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메르스 대응에 ‘실기(失期)’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박 대통령이 지난 1일 회의에서 “보건역량을 총동원하라”고 주문한 뒤에야 긴급대책반을 운영키로 하는 등 뒷북 대응에 나섰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보기]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