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상시 메르스 전문 병원 지정 계획 수립

입력 2015-06-03 16:35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감염 환자가 크게 늘어날 상황에 대비해 정부가 ‘메르스 전용병원’ 지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메르스 환자는 5명이 더 늘어 30명(사망 2명 포함)이 됐다. 추가된 5명 중 1명은 3차 감염자다. 격리된 사람은 1364명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교사·학생이 300명에 이른다.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보건복지부 국장)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 국·공립병원 건물 하나를 모두 비워 오로지 메르스 환자만 돌보도록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환자는 모두 내보낸 뒤 의료진이 완벽한 보호 장비를 갖추고 진료하게 될 것”이라며 “환자가 전국 음압병상의 수용 능력(105곳)을 초과하는 비상시에 대비한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리대책본부는 이날 추가된 확진 환자 5명 가운데 30번째 환자인 60세 남성이 16번째 환자 P씨(40)에게서 감염된 3차 감염자라고 밝혔다. 두 사람은 지난달 25~27일 같은 병실을 썼다. 보건 당국은 해당 병원에 대해 환자와 의료진 39명을 메르스 잠복기(14일) 동안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코호트 격리’를 실시하기로 했다.

관리대책본부는 그동안 메르스 환자가 증상이 나타난 상태에서 방문한 의료기관이 병원 11곳, 의원 3곳 등 총 14곳이라고 전했다. 병원 이름 공개는 “여러 불안정과 공포를 일으킬 수 있다”며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격리자 가운데 1261명은 자택에, 103명은 병원 등 기관에 격리돼 있다. 이날까지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52명이다.

세종=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관련기사 보기]